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결산 앞둔 금융사, 연체율 관리 비상

집중관리반 신설·캠페인 전개등 연체 줄이기 주력

금융회사들이 연말 결산을 앞두고 연체율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연말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전담반을 통해 대출상환 기일이 도래한 개인과 기업 고객들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부터 여신관리부에 ‘집중관리반’을 신설, 특별관리가 필요한 여신을 집중 관리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영업점 성과를 평가할 때 연체대출금 관리 실적에 대한 배점도 높이기로 했다. 우리은행도 올 연말까지 개인과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연체 감축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하나은행은 이달 들어 14개 가계영업본부에 연체관리 전담반을 파견했다. 신용카드업계 등 2금융권도 신용경색 여파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자 연체율 관리와 채권추심을 강화하고 있다. 신용카드사들은 연체 일수가 5일이 경과하지 않았는데도 카드사용을 정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일부 저축은행과 캐피털업체들의 경우 지나친 채권추심으로 금융당국의 개선권고를 받기도 했다. 카드대금을 연체한 고객이 금감원에 접수하는 채권추심 상담 건수도 크게 늘었다. 올 들어 지난 9월 말 현재까지 신용카드 채권추심 관련 상담은 4,51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2%나 늘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라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과도한 채권추심은 소비자들의 피해를 낳을 수 있는 만큼 모니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