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천안함 건져봐야 알 수 있다고 하라" MB메모 논란

김태영 국방장관 국회 답변 중 전달돼<br>청와대 '북개입설 낮다' 인정?… 북 개입설 높아 입조심 당부?

천안함 침몰 사건의 원인과 관련, 지난 2일 국회에서 답변 중이던 김태영 국방부 장관에게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이 담긴 메모가 전달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노컷뉴스가 포착해 5일 공개한 이 메모는 "VIP(이 대통령)께서 (김 장관의) 답변이 어뢰 쪽으로 기우는 것 같은 감을 느꼈다(기자들은 그런 식으로 기사 쓰고 있다고 한다)"면서 "여당 의원 질문형식이든 아니든 직접 말씀하시든지 간에 지금까지의 기존 입장인 침몰 초계함을 건져봐야 알 수 있으며, 지금으로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고 어느 쪽도 치우치지 않는다고 말씀해달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메모는 청와대가 천안함 침몰에 북한이 개입됐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모은다. '북한 어뢰 공격 가능성과 관련한 발언을 수습하라'는 이 대통령의 뜻을 담은 메모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한나라당 의원들과의 오찬에서 "지난해 11월 대청해전때와 달리 이번 사고 직후에 감청된 북한군의 교신기록을 보면 특이동향이 없다. 정황도 없는데 개입했다고 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한 바 있다. 미국 당국자들 역시 수 차례 북한이 개입한 정황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어뢰의 가능성이 실질적"이라고 답한 김 장관의 답변 방향을 청와대가 수정하려 했다는 의혹도 아울러 일고 있다. 즉 북한 개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진 상태에서 사태가 미칠 파장을 우려해 일종의 '입조심'을 당부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김 장관은 당시 '천안함 폭발 원인이 어뢰와 기뢰 중 어느 것에 가까운가'라는 물음에 "어뢰와 기뢰 두 가능성이 다 있지만 어뢰에 의한 폭발일 가능성이 좀더 실질적이 아닌가 생각한다. 어뢰는 함정을 직접 타격하는 경우가 있고 함정 밑에서 폭발해 버블제트로 허리를 분지르는 경우가 있는데, 열상감시장비(TOD) 사진을 보면 이번 건은 직접 공격일 경우에 나올 수 있는 것이라 본다"고 답변했었다. 한편 정부의 고위 당국자는 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방부가 발표하기 전에 청와대와 조율을 하나'라는 물음에 "청와대에서 일일이 조율하지 못한다. 청와대는 가급적 투명하고 신속하게 하라고 한다. 팩트를 발표하는데 꼭 청와대와 조율할 필요는 없다"고 답한 바 있다. 다음은 노컷뉴스가 포착한 메모 내용 전문. 장관님! VIP께서 외교안보수석(국방비서관)을 통해 답변이 '어뢰' 쪽으로 기우는 것 같은 감을 느꼈다고 하면서(기자들도 그런 식으로 기사쓰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여당의원 질문형식으로든 아니면 직접 말씀하시든 간에 “안 보이는 것 2척”과 “이번 사태”와의 연관성 문제에 대해 ①지금까지의 기존 입장인 침몰 초계함을 건져봐야 알 수 있으며 지금으로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고 어느 쪽도 치우치지 않는다고 말씀해 주시고 ②또한, 보이지 않은 2척은 식별 안되었다는 뜻이고 현재 조사 중에 있으며 그 연관관계는… 직접적 증거나 단서가… 달라고 하십니다. (일부 문구는 김 장관에 가려 확인할 수 없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