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건강검진 3명중 1명 비만

건보공단 2008년 분석 결과<br>서구화된 식습관·운동부족탓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인해 2008년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2008년 건강검진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강검진 수검자 988만명 중 체질량지수(BMI) 25.0이상인 비만인이 324만명(32.8%)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비만도 계산 지표를 나타내는 데 가장 널리 쓰인다. 비만인 324만명 중 BMI가 25.0이상~30.0미만인 고도 비만인은 277만명, 30.0~40.0미만은 45만명, 40.0이상은 2만3,500명으로 파악됐다. 반면 저체중자(18.5미만)는 47만명으로 4.8%에 불과했다. 성별로 보면 BMI지수 25 이상 남성이 38.1%로 여성(25.9%)의 1.5배 수준이다. 남성은 20대이하(30.9%)부터 30% 이상의 비만비율을 보여 30대(40.2%), 40대(40.5%), 50대(40.7%)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60대(36.7%), 70대이상(27.4%)으로 갈수록 비만자가 줄었다. 반면 여성은 젊은층이 다이어트와 몸매 관리 등에 관심이 높아 20대 이하(8.5%)에선 비만자가 거의 없고 오히려 20대 이하 21.6%, 30대 11.4%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0대(13.5%), 40대(24.4%), 50대(34.7%), 60대(43.2%) 순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비만인 비율은 크게 늘었다. 최근 3년 추이를 보면 비만인 비율은 2006년 29.7%, 2007년 29.8%에서 2008년 32.8%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최영은 교수는 최근 남성의 비만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량이 훨씬 많고, 하루 음주량이 80g 이상인 경우 비음주 남성보다 복부 비만에 걸릴 위험이 2배 정도 높다"며 "또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식욕을 높여 비만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비만 예방을 위해 ▦스트레스 관리 ▦음식 외의 스트레스 해소법 마련 ▦적절한 수면 섭취 ▦규칙적인 식사 ▦한식 위주의 식단 ▦활동적인 생활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