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연내 인터넷TV(IPTV) 시범서비스 실시에 전격 합의한 뒤 KBSㆍMBCㆍSBSㆍEBS 등 지상파 4사와 케이블TV업계의 PP(Program Providerㆍ프로그램 공급업체)들이 IPTV의 손익계산서를 놓고 장고(長考)에 들어갔다. 양측 모두 ‘시범서비스는 일단 참여하되 본방송 참여여부는 좀 더 관망한 뒤 신중히 결정한다’는 ‘정중동’ 식의 자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지상파 쪽이 동(動)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면, PP는 정(靜)쪽에 무게추를 둔 신중한 행보다. 지상파 4사는 일단 시범서비스 참여 결정은 내렸지만 내년 중 실시될 본방송 참여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온미디어, CJ미디어 등 대형 채널사용사업자(PP)들은 시범서비스조차 참여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황. 양측 모두 자칫 ‘섣부른’ 서비스 참여 결정이 방송사들을 통신회사의 단순한 ‘콘텐츠 제공회사’로 전락시킬 수 있다는 판단이 들어가 있다. 지상파TV, 시범서비스는 참여=지상파 4사는 일단 IPTV 시범서비스에 참여한다는 원칙을 확인했다. 석원혁 MBC 뉴미디어정책팀장은 “IPTV 공동 시범사업엔 일단 참여한다”고 밝혔다. 박치형 EBS 정책팀장도 “구체적 검토는 끝나지 않았지만 시범서비스에는 참여할 수 있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다만 지상파 방송사들이 KT, 하나로텔레콤 등 IPTV를 주도중인 통신회사들과 어느 정도 선까지 협력관계를 진행할지는 미지수다. 지상파의 한 관계자는 “IPTV 등의 해법을 제시하게 될 총리실 산하 방ㆍ통융합추진위가 나서서 사업자간 자율적 논의에 일정 정도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PP는 참여는 난망=지상파와 함께 국내 방송 콘텐츠 공급의 또 다른 한축인 케이블TV업계의 PP의 입장은 좀 더 복잡하다. 되도록 많은 플랫폼에 콘텐츠를 판매해 수익을 얻는 게 ‘최선’이지만, 기존 ‘갑’의 관계에 있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통신회사들도 현재 PP 콘텐츠보다는 소비자 흡인력이 큰 지상파와의 협력에 ‘올인’하는 상황도 PP들의 적극적인 행보를 막고 있다. 국내 양대 PP인 온미디어와 CJ미디어는 TV포털 ‘하나TV’와 제휴하지 않고 있다. PP사의 한 관계자는 “통신회사와 접촉은 하고 있지만 굳이 주도적으로 나설 이유는 없다는게 업계의 공통된 정서”라고 전했다. “특히 이제 막 자체 제작 역량을 쌓아가는 국내 PP의 현실에서 IPTV나 TV포털에 제공할 풍부한 라이브러리도 사실상 갖추지 못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아직은 멀어보이는 IPTV ‘본방송’=이런 상황에서 비록 시범서비스에는 동참해도 ‘IPTV 본방송’에 지상파 방송사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지는 미지수다. 지상파 방송의 ‘실시간 재전송’은 케이블TV, 위성방송, 지역방송, DMB 등 다양한 매체들의 이해관계와도 맞물려 있기 때문에 미디어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적 검토 후 결론을 내야 되는 상황이다. 이상요 KBS 기획팀장은 “IPTV가 방송인지 통신의 부가서비스인지 확정되지도 않았고, 논의를 지켜 봐야 하겠지만 현재로선 실시간 재전송에 대해선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현재의 지상파 대(對) 케이블TV의 구도처럼 IPTV 역시 지상파가 또 하나의 ‘라이벌’를 키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도 지상파 방송사들의 선택을 좁히고 있다. 이런 관점은 현재 IPTV의 초보단계 서비스격인 하나로텔레콤의 ‘하나TV’와 KT의 ‘홈엔’ 서비스에 대한 지상파의 태도에서도 드러난다. KBS는 하나TV에 일체의 콘텐츠를 제공치 않고 있고, SBS와 MBC만 주 15~20시간 가량의 콘텐츠를 지상파 본방송 12시간 후 방송하는 조건으로 제공하고 있다. SBS측은 “TV포털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VOD서비스의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을 뿐, 향후 IPTV에 대한 전략과 연계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단순히 자사 홈페이지에서 유ㆍ무료로 제공하는 VOD 동영상 서비스와 동일한 개념으로 접근할 뿐 확대해석 말라는 뜻이다. 석원혁 팀장도 “부처간 업무 조율이 된 건 반갑지만 IPTV 서비스에 대한 사업적, 법적 논의 없이 시범서비스만 밀어 부칠 경우 자칫 향후 상용서비스의 부실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