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경선룰' 이명박-박근혜 힘겨루기

이명박측-개방형 국민경선해야 동네잔치 안돼<br>박근혜측-경선시기 늦추고 선거인단은 늘려야

이명박

박근혜

한나라당 유력 대권주자의 최측근들이 8일 경선 방식과 시기 문제를 두고 본격적인 논란을 벌였다. 박근혜 전 대표 측은 경선 시기 연기 문제를 제기한 반면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은 선거인단 구성 방식 변경에 무게를 두면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유승민 의원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여당은 최대한 자기 후보에 대한 검증 기간을 짧게 하려고 할 텐데 우리(한나라당)만 혼자 후보를 먼저 뽑아놓을 필요가 있느냐”며 경선 시기 연기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경선 방식에 대해서는 “현행 선거인단 구성 비율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라고 못박으면서도 “다만 전체 4만명 규모의 선거인단 규모를 전체적으로 더 확대하는 방안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사견임을 전제하면서도 “이 문제를 캠프에서 공식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 전 시장 쪽 정두언 의원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먼저 경선 방식을 결정한 다음에 시기 문제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지금의 경선 (선거인단 구성) 방식대로 간다면 우리들만의 ‘동네 잔치’로 끝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국민경선) 도입을 역설했다. 그는 경선 시기 연기 문제에 대해서는 “좀 뒤 처지는 주자 등이 요구하는 것 같은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검토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양측의 논쟁은 각 캠프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는 게 당내 주된 평가다. 유 의원의 ‘경선 연기론’은 현재 지지율 면에서 크게 뒤지고 있는 박 전 대표 측 입장을 반영한 것이란 관측이다. 특히 박 전 대표는 그 동안 경선 연기 불가 방침을 고수해왔다. 정 의원의 ‘선 방식, 후 시기’ 발언도 이 전 시장이 지지율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을 반영한 입장이라는 지적이다. 이 전 시장쪽 시각으로는 지지율이 앞선 상황에서 굳이 경선을 연기할 필요가 없으며 선거인단 구성을 국민 지지율이 대폭 반영되는 방향으로 고쳐야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현행 한나라당 경선은 지난 2005년 개정된 당헌대로라면 오는 6월 치러지며 선거인단 비율은 대의원ㆍ당원ㆍ일반국민ㆍ여론조사가 각각 2:3:3:2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