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임금 5년동결 긴급명령 건의/최 전경련 회장

◎금리도 경쟁국수준 내려야재계가 현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5년간 말단사원에서 회장에 이르는 전임직원의 임금을 동결하는 긴급명령을 발동해 줄 것을 김영삼 대통령에게 건의한 것으로 알려져 최근 노동법 개정안과 맞물려 큰 파문이 예상된다. 최종현 전경련회장은 4일 하오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쟁력강화민간위원회 제18차 확대회의에서 인사말을 통해 『기업이 다 망하고 나면 근로자의 복지향상을 위한 노동법 개정도 아무 의미가 없게 된다』며 『긴급명령이라도 내려 말단사원에서부터 회장에 이르기까지임금을 5년간 동결하고, 금리를 대만·일본 등 경쟁국 수준으로 내리지 못하면 해당분야를 맡은 사람에게 책임을 지우자고 최근 동남아순방에서 대통령에게 건의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관련기사 3·10·39면> 최회장은 『임금 외에도 금리가 선진국에 비해 훨씬 높고 물류비도 많이 드는등 고비용구조로 경제가 어려운 때에 노동법까지 개정해 기업이 다 망하고 나면 근로자 복지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노동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최회장은 또 93년부터 경제계가 경쟁력강화민간위원회를 만들어 생산성 향상운동을 벌이고 기술개발에도 힘써 상당한 성과를 거뒀으나 전세계에서 유례가 없이 6년 남짓 기간동안 임금이 5백% 가까이 올랐다고 지적, 임금이 오르면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먼저 넘어지고 수출이 어려워져 경제전체가 어렵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89년 이후 정치적 민주화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이해당사자의 다양한 주장으로 경제계도 민주화의 대가를 많이 치렀다』면서 『노사분규가 그 대표적인 예이며 특히 주사파가 민주화의 탈을 쓰고 활동하는 바람에 더 큰 대가를 치렀다』고 말했다. 국회측 요청으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장재식 국회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 국회에서 15명의 위원이 참석했으며, 민간측에서는 최회장과 정세영 현대자동차 명예회장등 업종단체 대표 19명이 참석했다.<민병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