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日과 스마트폰 반도체 공동개발

"과도한 퀄컴 의존도 벗어나자"<br>내년 4000억 들여 합자사 설립

삼성전자와 일본 통신회사인 NTT도코모ㆍ후지쓰 등이 이르면 내년에 합자회사를 세워 스마트폰용 통신제어반도체를 공동개발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3일 보도했다. 새 회사의 자본금은 300억엔(약 4,170억원) 정도로 추정되며 본사는 일본에 둘 예정이다. NTT도코모가 과반을 출자하며 삼성전자와 후지쓰 외에 NECㆍ파나소닉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도 참가한다. 새 회사는 반도체의 개발ㆍ설계ㆍ판촉에 특화하고 제조는 외부에 위탁할 예정이다. 공동개발 대상은 미국 퀄컴사의 점유율이 높은 통신제어용 반도체다. 통신제어반도체는 무선이나 신호를 제어하는 등 휴대폰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품이다. 이 반도체시장에서는 현행의 3세대(3G) 휴대폰 기초기술을 보유한 퀄컴사의 점유율이 약 40%에 이르며 스마트폰에서는 약 80% 전후가 퀄컴사 제품을 쓰고 있다. 이대로는 4세대(4G)인 롱텀에볼루션(LTE) 휴대폰에서도 퀄컴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것을 우려해 한일 기업이 새 회사를 만들기로 했다는 것이다. 차세대 통신제어반도체는 종래 기술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반면 개발비용이 늘어난다. 삼성은 스마트폰의 패널에 쓰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점유율에서 세계 정상이고 반도체에서도 세계 2위지만 통신제어기술에서는 퀄컴에 크게 뒤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