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권영수 LGD사장 “3D TV 中 시장 연내 석권”

권영수 LG디스플레이 사장이 연내에 중국의 3D TV 시장을 필름패턴편광안경(FPR)방식으로 석권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권 사장은 4일 베이징(北京) 국가수영경기장(水立方)에서 ‘FPR 3D 게임 페스티벌’ 개최를 계기로 베이징 특파원단과 간담회를 갖고 “연초 중국시장에서 FPR방식의 점유율은 제로였으나 지난달 집계에서 60%에 육박하는 기적적인 성과가 나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의 소비가 집중되는 10월 국경절을 계기로 점유율을 70%까지 끌어올리고서 그 여세를 몰아 연말까지 80%까지 갈 것”이라며 “사실 80%는 상대와 승부를 결정짓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기염을 토했다. 3D 시장에서 FPR 방식의 상대는 셔터글래스(SG)방식이다. SG 방식은 삼성전자·소니·샤프·파나소닉 등이 사용하고 있다. SG방식은 TV의 영상에 따라 안경렌즈가 좌우로 빠르게 여닫히는 방식으로 입체화면을 구현하며 배터리를 장착해야 한다. 그런 반면 FPR방식은 필름안경을 사용해 안경에 별도장치나 배터리가 없어 가볍고 저렴하다. 중국 현지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이처럼 FPR 방식을 강하게 밀어붙이면서 중국 시장에서 한판 승부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내에서 LG디스플레이의 FPR 방식은 모기업인 LG전자를 포함해 중국 토착업체들인 스카이워스, 콩카, 하이센스, 하이얼, 창홍, TCL(티씨엘), 에이서, AOC(에이오씨), 레노버 등이 사용하고 있고 이들업체는 LG디스플레이로부터 LCD를 공급받고 있다. 권 사장은 “FPR 방식의 3D TV 판매 선전으로 중국 현지업체의 위상이 높아지자 중국 관리들이 (원천기술 소유자로서 해당 토착회사에 LCD를 공급하는) LG디스플레이에 고마움을 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전자상회의 지난 7월 예상에 따르면 올해 중국에서의 TV 판매량은 3,800만대 선이고 이 가운데 3D TV는 600만대 가량으로 추산된다. 권 사장은 “내년이면 중국 TV 판매량 중 3D TV의 비중이 35%선까지 올라갈 것이고 FPR방식의 3D LCD를 장착한 제품은 1,000만대 이상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주목할 점은 이번 게임 페스티벌을 통해 나타난 중국 현지 게임업체와 PC방 체인들의 뜨거운 관심”이라며 “이번 행사에서 상당한 규모의 (FPR방식의) 물량을 수주하는 성과를 냈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 시장에 이어 미국과 유럽에서도 FPR 방식의 세력을 확장해가고 있다”며 “미국에서 FPR방식의 점유율은 이미 20%까지 올라갔고, 유럽은 이제 시작단계에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광저우(廣州) 공장 착공시기와 관련, “중국 정부가 재촉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중국 TV 시장의 상황이 예측 불허라는 점에서 속도조절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