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상곤, 정부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고교서열화 유지 우려


“일반고 살리기가 아니라 고교서열화 체제를 유지하거나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

김상곤(사진) 경기도교육감은 6일 전체 직원이 참석한 월례조회에서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일반고 교육역량강화 방안'에 대해 이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정부안은)지난 8월 발표한 정부 시안의 취지와 방침에서 크게 후퇴한 것”이라며 “교육과 입시제도는 국가 전체의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조정되어야지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에 좌우되어서는 안된다”고 강조 했다.

관련기사



김 교육감은 “일반고는 전체 고교수의 70%에 가깝고, 경기도의 경우 일반고 학생수는 고교생 전체수의 80%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특목고, 자사고 등에 주어진 특혜에 따른 일반고와의 격차가 중등 교육 전체의 보편성을 위협해 왔다”고 설명했다.

김 교육감은 정부가 일반고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겠다면서 “자사고 학생 선발시기를 전기로 유지하고, 서울지역 자사고에 면접 등 2단계 전형을 허용한 것 등은 기존 서열화체제를 유지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실제로 올해 입시에서 자사고 등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지난달 24일 정부가 발표한 2017대학입시안 역시 “대입간소화와 입시부담 경감이라는 원래의 취지를 못 살린 안”이라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