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공항, 과연 어떻게 되나?"

"이전 계획없다" 당·정·청 진화에도 '개발 기대' 불씨 남아


‘서울공항, 과연 어떻게 되나?’ 정부와 여당이 잇따라 서울공항 부지에 아파트 등 주거지를 건설할 계획이 없다는 뜻을 밝혔지만 관심은 쉽게 꺼지지 않고 있다. 말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서울공항 부지는 분당신도시ㆍ판교신도시 보다 서울에서 가까운데다 면적도 120만평에 달해 수도권의 마지막 ‘노른자위 땅’이어서 핵심쟁점 사안으로 남을 전망이다. 최근 논란의 시발점은 열린우리당 수도권발전대책특위. 김한길 특위위원장은 지난 8일 “수도권 발전을 위해서라면 서울공항 이전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의 불을 댕겼다. 서울공항 터에 신도시가 건설될 수도 있다는 뜻으로 확대 해석된 것. 파장이 일자 국방부ㆍ건교부 등 정부부처에서는 “서울공항 이전 문제는 검토된 바 없다”는 반응이 나왔다. 청와대도 ‘뜬 금 없는 소리’라며 일축했다. 이정우 정책기획위원장은 11일 청와대에서 열린 금융감독위원회 업무보고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서울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논의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와 여당의 발언이 엇갈리자 여당에서 ‘수도권 민심 달래기’ 차원에서 급조된 구상을 여과 없이 드러내 혼선만 일으켰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결국 김한길 위원장이 해명에 나섰다. 김 위원장은 1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공항을 이전할 경우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한 적이 없다”면서 “신도시 개발 등의 논란이 일어 황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행정도시법이 통과돼 수도권 발전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검토할 때가 됐다”며 “지난해 12월부터 여러 차원의 논의구조 속에서 수도권 발전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서울공항 이전 문제도 수 차례 거론됐다”고 밝혔다. 특히 여당이 수도권 민심 달래기 차원에서 검토되지도 않은 개발설을 흘리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 김 위원장은 “오늘 아침에 열린 수도권발전대책 회의에서도 서울공항 이전을 검토한 바 없다는 정부입장의 진위를 따지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성경륭 위원장이 ‘누가 그렇게 대답했는지 알아보고 있다’고 답했다”며 서울공항 이전 문제가 논의 테이블에 올려져 있음을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서울공항 이전시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 구체화될 때까지 말씀 드리지 않겠다”며 “다만 수도권 과밀집중화를 막고 국가균형발전을 추구하는 방향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사과는 하되 여지를 남긴 셈이다. 신도시 건설 기대감도 여전히 살아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