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5일 정부입법 63%가 찬성

주5일 근무제의 연내도입이 사실상 무산됐지만 성인남녀의 절반 이상이 정부의 입법안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노동부와 국정홍보처가 6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입법추진에 대해 적극적인 찬성이 27.1%, 대체로 찬성이 35.5%로 62.6%가 찬성입장을 보인 반면 대체로 반대 25.6%, 절대 반대가 11.8%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부가 지난달 28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의 성인남녀 1,0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설문조사에 따른 것이다. 찬성 이유에 대해서는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9.9%로 가장 많았고, 반대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아서'가 54.5%였다. 주5일 근무에 따른 휴일ㆍ휴가 축소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견해(59.6%)가 공감하지 않는다(40.3%)는 응답보다 많았으며, 현행 공휴일 축소에 대해서는 반대(52.2%)가 찬성(47.8%)의견을 근소하게 앞질렀다. 정부안의 시행시기에 대해서는 적절하다가 46.2%, 늦춰야 한다는 응답이 34.1%, 앞당겨야 한다는 견해가 19.3%로 나타났다. 휴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금전보상을 하지 않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61%)의견이 많았고, 생리휴가에 대해서는 현행 유급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57.7%)이 많았다. 임금보전에 대해서는 대부분(76%)이 현행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정부 입법안의 주요 내용에 대해 72.5%(적극적으로 16.6%, 대체로 55.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5일 근무 시행에 따른 휴일 활용방안을 물은 결과 '가족과 함께 휴식 등재충전의 기회로 활용하겠다'(46.2%), '여행 등 개인적인 생활에 이용하겠다'(40.3%)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