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WP "대선 테러대책 대선영향 논란"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토안보부가테러 공격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전국적인 비상대책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경고와 과잉 보안조치들이 도시지역과 소수계 유권자들의 투표참여를 막을 수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6일 대선 테러 방지 대책이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특히 도시지역 유권자와 소수계 유권자들의 투표참여율을 떨어뜨림으로써 결과적으로 민주당에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민주당측과 시민단체, 선거관리 관계자들이 주장하고있다고 전했다. 예컨대 연방 보안요원이나 지방 경찰이 경비를 위해 투표소에 배치되면 소수계유권자들이 겁먹고 투표장에 나가지 않을 가능성이 많아지며 이는 과거 소수계 유권자 협박용으로 일부 지역에서 사용돼온 수법이라는 것. 조지 부시 대통령과 존 케리 민주당 대선 후보 양측은 치열한 경합 양상과 박빙의 표차로 승부가 갈린 2000년 대선 경험 때문에 표의 향방에 조금이라도 영향을 미칠 사안들에 대해 극도로 예민한 상태다. 이 신문에 따르면 대선 테러 경고는 또 부동층 유권자들에게 국가안보 불안감을높임으로써 현직 대통령을 바꾸지 않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유도, 부시 대통령에게유리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미네소타주 메리 키프마이어 국무장관은 `살인폭탄범들' 등의 테러 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면서 `살인폭탄범들'의 전형으로 `민머리나 짧은 머리, 독특한향수 냄새, 헐렁한 옷차림, 서로 속삭이는 사람들' 등으로 묘사한 홍보용 전단을 만들어 배포토록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자치단체 선거관리 관계자들은 이 홍보물 내용이 유권자들에게 불필요하게 겁을 줘 투표를 포기케 하거나 특히 테러범 묘사가 특정 종교.인종 혹은민족을 겨냥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이유로 배포를 거부하기도 했다. 민주당 일각에선 부시 대통령의 지지도가 최저를 기록했던 지난 4월과 민주당전당대회 직후인 8월에 이어 부시 대통령의 공화당 전당대회 효과가 소멸하는 것처럼 보인 지난주 등 고비마다 대선 테러 경고가 나온 점에 의구심을 표시하고 있다. 국토안보부측은 "우리는 국토안보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