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밸런스 트랜스퍼의 효용성을 눈여겨보고 우리나라에서도 쓸 수 있을지 연구하고 있다. 카드대출 이용고객들의 금리부담을 덜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11일 있었던 제2금융권 금리체계 합리화 태스크포스(TF)에서 카드사의 밸런스 트랜스퍼 개념이 논의됐다.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미국 카드사들은 리볼빙서비스로 주수입을 올리는데 경쟁사가 낮은 금리를 제시하고 대출을 가져오는 밸런스 트랜스퍼가 많다"며 "미국 카드회사 광고의 대부분이 초기 6개월 무이자를 해줄 테니 낮은 금리로 바꿔 타라는 것"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는 금리 차이가 3%포인트만 나도 대출거래선을 바꿀 수 있는 요인이 된다. 6개월처럼 특정기간 동안 무이자를 제공해주는 것도 사실상 금리인하 효과가 있어 고객들에게 유리하다.
금융위도 이 같은 점을 인정하고 있다. 특히 대출금리 표준화 같은 인위적인 방법보다는 경쟁을 통해 소비자 이익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금융위의 고위관계자는 "밸런스 트랜스퍼가 확산되면 자동적으로 금리가 내려가게 된다"며 "이를 위한 선행작업이 금리공시 확대이고 당국이 금리를 내리라고 유도하기보다는 공시확대와 경쟁을 통한 금리인하를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밸런스 트랜스퍼가 제대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대출전환시 카드사에서 다른 카드사로 바로 대금을 납입해주는 제도가 갖춰져야 한다. 금융 당국이 추진해야 하는 부분도 이런 것들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카드사들의 카드대출(현금서비스+카드론) 잔액은 27조2,000억원에 달한다. 금리를 1%포인트만 낮출 수 있어도 단순 계산으로 2,720억원의 금리 부담이 줄어든다. 카드업계의 관계자는 "카드대출에 남는 여력이 있어 고객유치 성과를 감안하면 밸런스 트랜스퍼 도입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