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올해 국채 25% 5년물로 발행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7일 국채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이 만기는 다양화하고 종목은 단순화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이에 앞서 이헌재(李憲宰) 재정경제부장관은 26일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채권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국채를 발행하는 등 국채시장을 육성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재경부는 올해도 3년만기 국채의 지표채권화 정착을 위해 발행 예상물량 28조원의 50% 가량을 3년물로 하되 5년물의 발행 비중도 25%선까지 높일 방침이다. 지난해 정부는 약 24조원의 국채를 발행했으며 이중 1년물이 35%, 3년물 49%, 5년물 16% 등을 차지했었다. 또 내년 이후에는 현재 발행되지 않고 있는 7년, 10년 만기의 국채도 적극적으로 발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국채만기를 장기화해 이자율의 합리적인 기간구조 형성을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함께 국채통합발행방식을 도입, 일정기간(예:3개월)내에 발행되는 국채는표면금리와 만기일을 동일하게 해 시장에서 동일종목으로 취급되게 함으로써 국채의유동성을 높이기로 했다. 즉 1월에 3년만기 채권을 발행하면 2월에는 2년11개월짜리채권을 발행함으로써 만기일을 일치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국고채,외평채,국민주택채권,농지보상채권 등으로 구성돼있는 국채종목을 단계적으로 국고채로 단일화해 유동성을 제고시킬 방침이다. 관계자는 시장에서 다양한 종목이 별개로 취급될 경우 유통량이 적어 금리가 높아진다며 이같은 방식으로 유동성을 높일 경우 국채 금리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설명했다. 재경부는 이밖에 유동성이 없는 기발행 국채를 최근 발행물로 교환하는 스와프제도나 국채 만기도래전에 유통시장에서 미리 사들이는 바이백 제도 등의 탄력적인국채관리 방안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