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택건설 수주, 대형업체 편중 심화

주택건설 수주가 대형업체로 몰리면서 중소업체의 채산성이 악화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특히 대부분의 대형업체들이 모두 세부 공사를 전문 건설업체에 맡겨 시공하고있어 이름만 빌려주고 이익을 독식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3일 주택 업계에 따르면 올해 업계 상위 20위의 대형업체는 21만4천840가구의아파트를 건설할 계획인 반면 490개사 중견 건설사들은 21만8천800가구를 지을 예정이다. 이는 중소업체의 경우 업체당 466가구의 아파트를 짓는 반면 대형업체는 중소업체의 24배에 이르는 1만742가구를 짓는 것이라고 업계는 분석했다. 또 작년의 경우 대형 업체의 수주 물량은 전체의 47.5%를 차지였으나 올해는 전체의 56.3%로 8.8% 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전인 지난 97년의 경우 대형업체의 분양 물량은 전체의 35% 수준이었다고 주택협회는 설명했다. 한 중견건설업체의 대표는 "대형건설업체의 아파트 공사 현장에 가보면 이름만대형건설사일 뿐 중소업체, 중소하청업체들이 일하고 있다"며 "대형업체들은 아파트공사를 저가로 하청주면서도 분양가를 내리지 않고 있어 사실상 폭리를 취하는 셈"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이 심화되면 아파트 건설시장은 독과점 형태를 띠게 돼 지방 중소업체와 지역 경제 기반이 함께 붕괴될 것이라고 중소업체들은 우려하고 있다./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