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조 태국 물관리사업 비상

반정부시위로 연내 본계약 체결 물 건너가<br>잉락 총리 퇴진땐 무산 될수도

한국수자원공사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6조2,000억원 규모의 태국 통합물관리 사업이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태국정부가 진행해온 통합물관리 사업 주민공청회가 지난 6일에 끝나 본계약을 앞두고 있지만 반정부 시위로 인해 최종 계약 여부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8일 국토교통부와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태국 환경단체의 반대로 이미 사업 시기가 늦춰진 태국 통합물관리 사업이 태국 반정부 시위로 인해 연내 계약 체결은 물 건너갔고 최악의 경우 수주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애초에 수자원공사는 지난 6월 태국 정부로부터 6조2,000억원 규모의 태국 차오프라야강 유역의 방수로와 저류지 공사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9월 말에 사업 조건을 확정하고 본계약을 체결할 방침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태국 환경단체 등이 정부가 환경영향평가 등 사업절차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서둘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하자 태국의 중앙행정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환경영향평가와 여론 수렴을 위한 주민 공청회를 실시하라고 판결하면서 계약이 한차례 연기됐다.

지난 9월 말부터 이달 6일까지 반정부 시위가 일어난 방콕을 제외한 35개 지역에서 주민공청회를 마쳤지만, 반정부 시위가 계속되면서 상황은 더욱 나빠지고 있다.

시위대들은 통합물관리 사업의 발주와 계약을 책임지고 있는 잉락 친나왓 총리의 퇴진과 정권교체를 요구하며 시위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반정부 시위가 이 상태에서 사그라진다면 계약 지연에서 그치겠지만, 잉락 총리가 퇴진하고 정권교체까지 이뤄진다면 사실상 수주가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잉락 총리가 퇴진하더라도 계속해서 여당 집권하에 조기총선이 이뤄질 경우엔 수주가 완전히 무산될 가능성은 낮지만 수개월 이상 계약 지연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수공이 태국 정부에 제출한 입찰보증서의 만기일은 내년 4월까지다.

우리 정부와 수공은 이 때문에 비상이 걸렸다. 수주가 무산될 경우 수공과 함께 태국 사업의 종합계획 수립 등을 위해 참여한 건설사의 시간과 인력·설계비용 등의 손실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이번 태국 물관리 사업에는 현대건설·GS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삼환기업 등 5개 건설업체가 최종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