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설] 남자는 바지 먼저 입고 주름 왼쪽으로 가게

■ 한복 올바르게 입기<br>여자는 속바지 위에 속치마 2~3cm 짧게 입어야

사진제공=박술녀한복

설날과 어울리는 옷차림으로 한복을 빼놓고 이야기하기는 힘들다. 특히 올해는 설 연휴가 어느 해보다 길어 한복을 착용하는 자리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옷을 입을 때에는 무엇보다 격식에 맞는 차림이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근래 들어 겉옷과 속옷 모두 간단하게 입는 게 일반화됐지만, 올바른 착용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갈수록 한복 착장을 어려워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고 올바르지 않은 차림새로 거리에 나서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그렇다. 또한 한복 착용 방법을 바로 익히면 한결 편하게 움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맵시도 살릴 수 있다. ▲ 여성의 한복입기 한복을 입을 때에는 체형과 계절에 맞는 차림과 더불어 속옷에 신경을 기울이는 게 중요하다. 예로부터 속옷이 한복의 전체적인 선을 아름답게 살아나게 해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옛 여인들은 속속곳ㆍ속바지ㆍ단속곳ㆍ무지기 등 여러 개의 속옷을 겹겹이 입었다. 이렇게 속옷을 갖추어 입어 상체는 아담하면서도 하체는 부풀려 풍성히 보이게 하는 게 당시의 '트렌드'였다. 근래 들어서는 예전처럼 많은 속옷을 입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속바지와 속치마 정도는 갖춰 입어야 한다. 옛 사람들은 광목 등으로 가슴을 싸맨 뒤 치마를 입었지만 속치마의 가슴 부분을 넓게 덧대어 따로 싸매지 않도록 한 속치마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성이 한복을 입을 때에는 먼저 속바지를 입은 뒤 속치마를 입는다. 이 때 속치마는 속바지보다 2~3cm 짧게 입어야 한다. 속치마를 입은 뒤 버선을 신는데, 버선의 양 수눅(꿰멘 솔기)이 중앙을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신는 게 요령이다. 치마는 겉자락을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오른편 쪽 치마가 겉으로 오게 입는 게 올바르다. 치마가 겹치는 폭은 뒤에서 보았을 때 한 뼘 정도가 적당하다. 치마 끈은 뒤쪽에서 엇갈려 앞으로 오게 한 다음,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매듭을 잡아준다. 저고리를 입을 때에는 어깨선을 약간 앞으로 오게 해서 입는다. 앞섶을 약간 아래로 당겨 동정이 뒷목에 닿도록 해야 맵시가 살아난다. 고름은 맸을 때 두 개의 길이가 1~2cm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 적당하다. 옷을 입은 후에는 들뜨거나 남은 부분을 정리해 잘 접어준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진동 날개 부분이 뜰 경우 안쪽으로 접어서 정돈해 준다. ▲ 남성의 한복 입기 남자는 바지를 먼저 입는다. 바지를 입을 때는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한다. 즉 바지 허리를 잡고 오른쪽으로 바짝 당겨 당긴 부분을 왼쪽으로 포개어 매듭이 앞으로 오도록 허리끈을 매면 된다. 버선을 신은 뒤 대님으로 묶어준다. 이 때 윗부분을 밑으로 잡아 당겨 모양을 잘 정리해 주는 게 중요하다. 대님을 정리한 뒤에는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순으로 갖춰 입는다. 저고리를 입을 때에는 먼저 안감의 띠를 묶고 고름을 매면 된다. <도움말>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