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6월 10일] 난국 헤쳐 나갈 수 있는 쇄신책 기대한다

쇠고기 파동에 따른 국정혼란을 수습하기 위한 쇄신안 마련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주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이 일괄사의를 표명한 데 이어 곧 내각 차원의 사의 표명도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은 이번주 들어 가급적 공식일정을 배제한 채 국정쇄신안 마련을 위한 장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당선 이후 바쁜 일정을 소화해온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정부가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인적쇄신이 불가피하게 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이왕 사태가 이렇게 돼 쇄신할 것이라면 제대로 해서 또다시 이런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 바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의 핵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다수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쇄신안이 나와야 한다. 무엇보다 인적쇄신이 제대로 돼야 한다. 내각출범 당시부터 ‘고소영’ 등의 비아냥을 받은 인사 문제는 지금까지 계속 불거지고 있다. 대통령 주변의 일부가 권력을 사유화하고 있다는 폭로가 터져 나오는가 하면 쇠고기 문제를 둘러싸고 민심이 들끓는데도 수습할 생각은 않고 ‘사탄’ 운운하는 적절하지 못한 표현으로 사태를 더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인사가 만사라고 했듯이 인사에서 문제가 계속 불거지면 현재의 사태를 수습하기도 어렵지만 앞으로 개혁을 비롯한 국정과제를 원만하게 추진해나가기도 어렵다. 이런 점에서 내각 및 청와대를 중심으로 능력과 자질ㆍ인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국민의 신뢰를 받는 인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이 대통령은 국민을 섬기는 정부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그동안 이 같은 철학에 얼마나 충실했는지 되돌아보는 것도 쇄신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다. 쇠고기 사태에 따른 혼란과 갈등을 잠재우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쇄신안이 나오기를 바란다. 당장 고유가 충격 등으로 경제난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