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 총재 직할 체제로 바뀐다

조직개편안…5개 직군제 폐지, 부총재보 인사·예산권 없애<br>효율성·개혁 보다는 총재 권한강화 초점


한국은행이 최근 확정한 조직개편안이 '효율성'보다는 '총재의 권한 강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은에 따르면 김중수 한은 총재는 오는 2월 정기인사를 앞두고 외부 컨설팅을 거쳐 확정한 조직개편안을 최근 직원들에게 공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김 총재는 5명의 부총재보를 중심으로 한 직군제를 폐지했다. 직군제가 폐지되면 부총재보들은 직군 내 인사·예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고 총재 자문기구인 '경영위원회'에 조언하는 역할만 담당하게 된다. 사실상 한은 조직이 총재 직할체제로 재편되는 셈이다. 현재 한은은 ▦조사국·국제국·외화자금국 ▦정책기획국·금융시장국·경제통계국 ▦금융안정분석국·금융결제국·발권국 ▦기획국·총무국·전산정보 ▦지역본부·해외사무소 등 5개 직군으로 나뉘어 있다. 부총재보들이 각자 자신이 맡은 직군의 인사ㆍ예산에 대한 권한을 행사하는 구조다. 직군제 폐지는 직군을 넘어 인사이동이 유연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지금까지 한은 인사는 주로 직군 내에서 이뤄져 인사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정작 인사 대상자인 한은 직원들의 생각은 다르다. 조직개편이 개혁보다는 총재의 권한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기 때문이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김 총재가 조직의 유연화를 빙자해 세부적인 인사ㆍ예산배분에 직접 관여하겠다는 속내가 읽힌다"고 말했다. 당초 한은 내부를 술렁이게 했던 조직축소도 공염불에 그쳤다.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현재 12국 2실 1원 1센터인 한은 조직이 11국 1실 3원으로 바뀐다. 현 외화자금국을 외환자산운용원으로 격상하고 경제교육센터와 연수원을 인재개발원으로 통합하는 것 외에는 일부 명칭만 바뀔 뿐 큰 변화가 없다. 당초 폐지가 유력하게 거론됐던 정책기획국도 그대로 유지된다. 정책기획국은 금통위원들에게 한은 집행부의 통화정책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는 핵심 부서지만 김 총재는 한때"금리결정은 금통위원들이 하는데 정책기획국이 왜 필요하냐"며 폐지를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화보유액 운용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신설되는 외화자산운용원 책임자를 외부에서 발탁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회의론이 일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외부인사를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은 결국 수익률인데 외화보유액 운영방향 자체를 바꾸지 않는 한 누구를 기용하든 결과는 같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