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차기 OECD 사무총장 자리 경쟁 치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차기 사무총장 자리를놓고 한국의 한승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을 비롯해 폴란드, 멕시코가 경쟁하고 있으나 금주중 일본, 미국, 프랑스도 후보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1일 보도했다. 내년 캐나다 출신인 도널드 존스턴 사무총장의 뒤를 잇게 되는 차기 총장은 러시아, 중국, 브라질, 인도 등 개도국 추가 가입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 중대한 시점에 OECD를 이끌게 된다. 존스턴 사무총장은 올초 차기 총장은 아시아에서 나와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현재까지 지명된 후보 중 가장 고위급으로 마레크 벨카 폴란드 총리를 꼽았다. 그는 경제학 교수, 재무장관을 지냈으며 이라크 연합군 임시행정처(CPA)에서 폴란드 대표로 일했다. 멕시코는 여러 외국어를 구사하는 앙헬 구리아 전 재무장관을 후보로 내세웠다. 구리아 전 장관은 여러 경제개발 기관에서 자문역을 맡았다. 새로 변수로 등장하고 있는 것은 일본. 금주중 후보를 내세울 것으로 관측되고있다. 현재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전 외상이 거명되고 있으나 OECD 본부가 있는 파리에서는 일본 정부가 다케나카 헤이조(竹中平藏) 경제재정ㆍ우정민영화담당상등 더 비중있는 인사를 내세울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OECD 관계자들은 출신 국적보다는 후보자의 자질이 더 중요하게 고려될 것이라고 전하고 있다. 사무총장은 OECD의 기술적 생산성에 대한 높은 이해도에 더해 최고의사결정자들과 접촉할 수 있는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두각을 나타내는 후보가 없어 OECD 회원국들은 이 요직을 두고 힘겨루기를 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