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중소형 생보사 '증시 상장' 박차

동양 "하반기 상장 목표" 어제 주관사 선정<br>금호도 우리투자증권 내정등 구체적 준비 나서


중소형 생명보험사들이 증시 상장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호생명과 동양생명은 올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 주관사 선정 작업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금호생명은 지난 2005년 1,000억원의 유상증자 때 주관사를 맡았던 우리투자증권을 사실상 상장 주관사로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호생명은 2005년 1,020억원의 증자를 마무리한 후 지난해 9월에는 결산유보율 42.6%, 지급여력비율을 299.5%까지 끌어올리는 등 상장을 위한 준비작업을 차근차근 진행해왔다. 금호생명의 한 관계자는 “2005년도에 유상증자 공모 주관사로 선정됐던 우리투자증권이 상장 주관사를 맡을 가능성이 크다”며 “주주들에 대한 개인 정보와 투자정보를 모두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 안에 금호생명을 상장하겠다는 의지는 확고하다”며 “3월 결산이 끝난 뒤 상장 주관사를 선정하고 오는 6월 주주총회에서 구체적인 상장일정과 세부내용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양생명도 상장 준비에 한창이다. 동양생명은 IPO를 위한 주관사를 선정했다. 이를 위해 1월 말 굿모닝신한증권과 대우증권ㆍ우리투자증권 등 국내 증권사 3곳으로부터 주관사 선정을 위한 설명을 들었다. 동양생명의 한 관계자는 “최근 상장 여건과 추세 등 분위기를 알아보고 사전 준비작업을 위해 국내 3개 증권사로부터 설명을 듣고 주관사를 선정했다”며 “3월 결산이 끝나고 5월께 결산결과가 나오면 거래소의 심사를 받는 등 구체적인 절차를 밟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양생명은 현재 해외 기관투자가들을 유치하기 위해 구주 매각 등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중소형 보험사들을 중심으로 상장 준비작업이 활발한 것은 상장 요건 중 하나였던 내부유보율(납입자본금 대비 잉여금 비율) 규정 등이 올 1월1일부터 폐지됐고 상장예비심사기간도 3개월 이내에서 2개월 이내로 단축되는 등 상장 요건이 크게 완화됐기 때문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동양생명과 금호생명이 ‘상장 1호 생보사’ 타이틀을 놓고 각축전을 벌일 전망”이라며 “아직은 증시 상황이 좋지 못해 무리하게 상장을 추진하기보다는 시장상황을 감안해가며 상장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