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투기열풍 주상복합으로 옮기나

정부가 서울 전지역 등 투기과열지구에서 아파트 분양권 전매를 7월부터 전면 금지키로 하면서 부동자금이 아파트에서 주상복합건물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파트의 투기열풍이 주상복합에서도 발생할 것으로 우려, 이를 사전에 차단할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금리와 증시침체로 인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380조원의 시중부동자금이 주상복합으로 몰리면서 강남 도곡 주공아파트와 같은 과열양상이 속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상복합은 올들어 ▲아파트와 비슷한 전용률 ▲뛰어난 입지여건 ▲타워형 등 다양한 모델 출시 등으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올들어 4월까지 공급된 주상복합은 총 199개 단지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8개 단지 보다 26% 가량 증가했다. 경쟁률은 ▲도곡동 SK 허브 56대 1 ▲방대동 롯데캐슬 해론 68대 1 ▲신동아 로잔뷰 39대 1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투기과열지구 내 분양권 전매 전면금지로 인해 아파트 시장은 실수요 위주로 위축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주상복합 시장은 단타수익을 노린 가수요가 몰리면서 경쟁률이 치솟고 분양권 값도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달 중순 마포구공덕동에서 분양되는 삼성물산의 트라팰리스가 최근 5,000대 1을 육박하는 경쟁률로 화제를 모았던 강남구 도곡동 주공아파트 보다 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 이 달 말 분양되는 포스코건설의 광진구 자양동 주상복합에 아파트 분양권 전매금지 이후 신청자가 급증하는 등 투기열풍 조짐일 일고 있다. 신청건수가 지난 4월 이후 하루 평균 500건 내외에 불과했지만 분양권 전매 금지 이후 1,000건을 넘어서면서 예약자가 2만3,000명에 달하고 있다. 분양가구수가 1,100여가구인 점을 감안하면 벌써 20대1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청약마감 예정일인 이달 말에는 경쟁률이 최소 50대1을 넘어설 전망이다. 솔렉스 컨설팅 장용성 사장은 “최근 선보인 주상복합은 구조ㆍ전용률 등에서 일반 아파트와 큰 차이가 없다”며 “단지가 들어서는 지역이 지하철역 등 상업지역을 끼고 있는 등 입지여건 우수해 주상복합의 열기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해밀컨설팅 황용천 사장은 “최근 5,000대 1에 육박한 도곡 주공아파트 보다 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주상복합 단지가 속출할 것”이라며 “주상복합도 분양권 전매를 제한하지 않는 한 투기 열기는 고조될 것”고 우려했다. ■ 최근 공급된 주상복합 경쟁률 강남 도곡 SK 56대 1 부산 연산 SK 18.5대 1 부산 해운대 대우 30.2대 1 동작 신대방 성원 34대 1 서초 방배 롯데 68대 1 <이종배기자 ljb@sed.co.kr>

관련기사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