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토익·토플등 해외서 개발 시험 대체 '국가주도 영어시험' 실시

학생용 2009년·일반 2011년부터 시행<br>'한국 영어능력 평가재단' 올해 설립키로

토익ㆍ토플 등 외국에서 개발된 영어시험을 대체할 국가주도의 영어능력 평가시험이 오는 2009년 하반기부터 실시된다. 30일 교육인적자원부는 학생용 영어능력 평가시험을 2009년 하반기부터, 일반용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2011년부터 각각 시행하는 내용의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영어능력 평가시험 개발 및 시행을 위해 가칭 ‘한국영어능력평가재단’을 설립하고 기존에 영어시험을 개발ㆍ운영해온 대학 및 기관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EBS 등을 참여시킬 예정이다. 또 향후 4년간 21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말하기ㆍ듣기ㆍ읽기ㆍ쓰기 등 4개 영역에서 치러지며 인터넷 기반 시험방식(IBT)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연간 최소 4회 이상 시험을 치르게 되며 응시료는 토익(3만7,000원)보다 낮게 책정될 전망이다. 또 기존 토익ㆍ토플 등의 영어시험이 초ㆍ중ㆍ고등학생에서부터 대학생ㆍ일반인까지 응시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한가지 시험으로 실시된 반면,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총 10등급으로 구분해 개인의 학력 및 실력에 따라 응시하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초등학교 1~3등급, 중ㆍ고교 4~7등급, 성인 8~10등급 등 총 10등급으로 나누는 방안이 유력하다. 교육부는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이 기존 토익ㆍ토플 등 해외개발 영어시험을 대체하고 시험 결과가 전세계 유수 대학 등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현재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고교 및 대학진학, 대학의 학점 인정 및 졸업요건 공무원 임용, 공ㆍ사기업 취업 및 승진 등의 용도로 수요가 매년 급증하고 있으나 토익ㆍ토플 등 해외개발 시험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영어시험 전체 응시자 269만명 중 76%가 해외개발 영어시험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초ㆍ중등학생들의 경우 영어실력 측정을 위해 전체 응시자의 21%인 56만명이 영어시험을 봤지만 이들을 위한 별도의 영어시험이 존재하지 않아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