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우려하던 노동계의 대규모 파업이 현실로 다가옴에 따라 `지난 5월의 물류대란`과 유사하거나 더 강도높은 피해가 발생할 것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당장 현대자동차 노조가 시한부 부분 파업에 돌입했으며 오는 28일엔 철도노조가 전면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여기에 상당수의 대규모 사업장과 금속ㆍ화학 노조 등도 통일된 움직임을 보인다는 방침이어서 경제에 미칠 직간접적인 피해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다.
◇조 단위 피해가 우려된다= 비교적 파업 강도가 크지 않았던 지난해 국내 자동차업체들이 노사분규로 입은 피해액은 대략 1조970억원. 참여정부가 출범한 올해는 노동계의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클 것으로 예상돼 최소 지난해 이상의 피해가 우려된다.
일단 현대차의 경우 부분 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액은 1일 180억원 가량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전면 파업으로 돌입할 경우엔 피해 규모가 1일 900억원으로 급증하게 된다.
여기에 오는 28일부터 철도노조의 파업 돌입이 현실화하면
▲원부자재 수급 차질
▲물류비용 증가
▲수출 선적 차질 등 직접적인 피해는 물론 중장기적으로
▲기업 신인도 하락
▲한국 투자 기피
▲성장에너지 고갈이라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재계는 정부가 일단 파국을 피하는데 급급해 미봉책으로 사태를 해결하지 말고 불법파업이나 집단행동에 대한 엄격한 법 집행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조남홍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은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노동계가 무리하게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경제를 볼모로 한 이기주의적 발상”이라며 “노동계가 파업을 철회하고 노사가 경제를 살리는데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정 안되면 떠나겠다”= 재계에서는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상황까지 가고 있다`는 분위기가 팽배해가고 있다. 노동계를 비롯한 사회의 각종 이익집단의 불법행동으로 경제파탄은 물론 사회질서까지 혼란으로 빠져들어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명관 전경련 부회장은 “지금은 참을 수 있는 한계에 이르렀다”며 앞으로 재계가 불법파업에 대해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한 전무도 “경영계가 인내심의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사업장별로 원칙을 지켜 강력하게 불법행위에 제동을 걸 것”이라고 덧붙였다.
재계의 이같은 분위기는 `앞으로 한국에서 더 이상 사업을 할 수 없다`는 위기감으로 확산되고 있다.
A그룹 구조조정본부 관계자는 “경제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기업들이 경제를 살리기 위해 어려운 와중에도 투자를 늘리고 채용을 확대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데 노조의 파업이 지속된다면 이 같은 계획도 재검토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조영주기자 yjch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