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G마크 품질관리 "더 꼼꼼히"

농산물 안전관리 강화하고 부적합할땐 인증 취소 까지


경기도 G마크(도지사 인증 명품 브랜드) 농산물의 안전성이 한층 강화된다. 도는 G마크 농축산물의 매출이 매년 급증추세를 보이자 G마크 인증 농산물의 안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G마크 상품의 생산ㆍ유통ㆍ소비 단체에 안전성 관리를 강화하기로 하고 부적합한 농산물 발생시 G마크 인증취소를 곧바로 시행하기로 했다. 또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및 잔류농약 등 안전성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으며, G마크 농산물의 소비자 안전성 보장을 위한 신고보상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도는 이를 위해 '199Rice'와 'G+Meat'에 한해 시행되고 있는 '경기명품 농산물의 안전성 보상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모든 G마크 농산물로 확대할 계획이다. 도는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이 안전기준을 초과할 경우 건당 500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도는 G마크 농특산물 리콜제도를 운영하는 등 품질관리도 엄격히 한다. 리콜제도는 G마크 농산물에 결함이 있을 때 도지사가 직접 책임을 지고 보상하는 제도다. G마크 농산물 판매는 매년 급증추세를 보이고 있다. 도에 따르면 G마크 농산물 판매는 지난 2006년 2,445억원에서 2007년 2,931억원, 2008년 5,431억원, 2009년 7,293억원, 2010년 1조125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도는 올해 목표를 1조2,000억원으로 잡고 있다. 도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G마크 농산물 인증업체를 250개로 늘리기로 하는 등 공격적인 경영을 펼치기로 했다. 현재 도내에는 농산물 124곳, 농가공품 53곳, 축산물 34곳, 임산물 6곳, 수산물 5곳 등 모두 222개 업체가 G마크 인증을 받고 있다. 김정한 경기도 농정국장은 "G마크 인증 출범 10년 만인 지난해 1조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거침없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소비자들을 위한 안전한 농축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