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산업은행-한화 '힘겨루기 2R'

대우조선 '인수대금 지급조건 완화' 쟁점화<br>대우조선 노조 "조건 완화는 특혜" 산은 압박<br>산은선 "한화측 사정 봐 줄 생각없다" 못박아<br>한화 "실사 못할땐 본계약 거부할 수밖에…"


대우조선해양 매각 본계약이 한달 연기된 가운데 인수대금 지급조건 완화 문제가 쟁점화 되면서 산은과 한화간의 힘겨루기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 노조도 “지급조건 완화는 특혜”라며 산은을 압박하고 있어서 대우조선 매각을 둘러싼 3자간의 논의의 실타래가 더욱 꼬여가는 양상이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29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중앙 집중 결의대회’를 겸해 기자회견을 열고 “산은이 한화가 요구한 지급조건 완화 등을 수용하는 것은 미래의 부실을 눈감아주는 격이며 특혜 시비를 부를 수 있다”면서 “산은이 노조의 의사를 무시하고 한화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향후 발생할 모든 문제의 책임은 산은 측에 있다”고 주장했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한화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노조 측은 지난 26일자 노보에서도 “한화는 자신들이 돈이 없다는 것을 떳떳하게 말하며 산은을 압박하면서도 노조의 요구에는 일언반구도 없다”며 “한화의 분납 요구는 대우조선을 일단 인수한 뒤 대우조선 자산 등을 팔아 인수대금을 충당하려는 시나리오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선(先)합의-후(後)실사’ 방침에 변함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화는 이날 나온 대우조선해양 노조의 강경 대응 방침에 대해 “첩첩산중”이라며 곤혹스럽다는 반응이다. 한화그룹의 한 관계자는 “산은이 본계약 시한을 1개월 연장해 줬지만 실사를 완료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시일이 몹시 촉박하다”면서 “한화는 대우조선해양 노조를 만나 책임있는 약속을 할만한 법적인 입장이 안 되는 만큼 산은 측이 실사가 가능한 환경을 조속히 만들어 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특히 한화는 대우조선해양 인수 컨소시엄의 주력 3사인 ㈜한화, 한화석유화학, 한화건설이 지난 26일 긴급 이사회를 통해 ‘실사 완료 이후 본계약하거나 이에 준하는 보완장치를 마련한 뒤 본계약해야 한다’는 내용을 결의한 터라 대우조선해양 노조의 이 같은 강경 대응이 더욱 부담스러운 처지다. 한화그룹의 한 관계자는 “그룹 경영기획실 내 인수 태스크포스팀이 3사 이사회 결의 내용을 따르지 않을 경우 기존 주주들의 집단소송 대상이 될 수도 있다”면서 “실사도 못하고 잠재 부실에 대한 안전장치가 마련하지 못할 경우에는 다음달 30일 본계약을 거부할 수밖에 없다”고 거듭 밝혔다. 반면 산은 측은 대우조선해양 노조의 이날 요구에 대해 “더 이상 한화 측의 사정을 봐 줄 생각이 없는데 뭘 걱정하는냐”는 입장이다. 산은의 한 고위관계자는 “한화의 분납요구 등을 들어줄 생각은 없으며 본계약 1개월 유보외의 조건은 양해각서(MOU) 대로만 진행하겠다”면서 “특히 잔금은 3월 말까지 일시불 현금으로만 받겠다”고 한화의 분납 요구 등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 관계자는 실사 문제에 대해서도 “실사 개시를 위해 한화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노조와 협상해야 한다”면서 “1월 말까지 실사가 진행되지 못할 경우 그 책임은 한화에 있다”고 못박았다. 한편 이날 한화 측과 산은은 실무차원의 접촉을 시작했으나 별다른 진척을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