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PPA 논란, 의사ㆍ약사간 갈등비화 조짐

페닐프로판올아민(PPA) 함유 감기약에 대한 판금조치로 촉발된 논란이 의사와 약사 사이의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대한의사협회는 5일 성명을 통해 “PPA 함유 의약품에 대해서는 지난해 대한의사협회가 심포지엄 등을 통해 강력한 문제제기를 했다”며 “그럼에도 늑장 대응한 정부에 깊은 반성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날 “식약청에 의사를 대규모로 채용해야 한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는 의사가 1,707명, 약사가 94명 있으나 우리나라 식약청은 약사가 150명이고 의사는 2명뿐”이라고 주장하는 등 약사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들을 쏟아냈다. 이에 대해 약사들은 겉으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 제약회사 출신의 김선미 의원이 열린우리당 확대간부회의에서 “PPA 성분 감기약에 대해 논란이 벌어진 것은 그 약으로 인한 건강상의 해악보다 행정상의 문제”라며 “어느 약이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라고 발언한 것도 이러한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사태를 계기로 소비자가 처방 없이 사먹을 수 있는 일반의약품의 범위를 대폭 축소해야 한다는 의사들의 주장에 대해 약사들은 “의사들의 직역(職域) 이기주의가 반영된 것 아니냐”며 그 진의를 의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