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굴 고구려벽화 돌려달라"

“한국에 있는 것으로 파악”…문화재청에 공식 서한

중국이 1990년대말 도굴당한 지린성(吉林省) 지안(集安)시의 고구려 고분벽화가 한국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우리 당국에 반환을 공식 요청했다. 1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중국 국가문물국은 최근 이건무 문화재청장에게 서한을 보내 “도굴된 지안시의 고구려 고분군 장천1호분 3실의 벽화가 한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며 반환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해왔다. 중국 당국은 “도굴꾼 3명은 고분벽화 여러 점을 훔쳤다가 법에 따라 형을 선고받았다”며 “이들은 한국고미술협회의 고위 간부로부터 교사를 받아 범행했으며 이 벽화가 한국으로 넘어갔다고 공통된 진술을 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최근 국내 한 방송사가 고구려 고분벽화 도굴 문제를 다룬 것을 계기로 반환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문화재청은 긴급회의를 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고구려 고분벽화가 한국에 있다며 돌려달라고 문제를 제기한 만큼 어떤 식으로든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일단 경찰청을 비롯해 관계 부처ㆍ기관과 협력해 벽화의 소재와 사건 경위를 파악한 뒤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압록강 북동쪽 25km 지점인 지린성 지안시(옛 고구려 수도인 국내성)에 위치한 장천1호분은 70년에 발굴된 둘레 88.8m, 높이 약 6m의 무덤으로 내부 벽화는 고구려의 신앙 생활과 풍속을 알려주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된다. 김모씨 등 조선족 3명은 97년부터 2000년까지 7차례에 걸쳐 고분을 도굴하고 벽화를 떼내 한국인 이모 씨에게 팔아넘긴 혐의로 2003년 검거돼 사형에 처해졌다. 이들이 훔친 벽화에는 출행도(出行圖), 청룡도(靑龍圖), 백호도(白虎圖), 현무도(玄武圖), 무금무악도(撫琴舞樂圖), 비봉도(飛鳳圖), 공양인도(供養人圖), 백희도(百戱圖), 무사도(武士圖)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