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企제품 발굴 대기업 직원에 인센티브

중기청-대기업 CEO 간담회… '구매조건 기술개발' 확대등 상생 논의

중소기업의 신기술 제품을 적극 발굴하는 대기업 직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추진된다. 중소기업청은 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삼성전자, 현대ㆍ기아차, SK텔레콤, LG전자, 포스코 등 9개 대기업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홍석우 중기청장은 이 자리에서 “국내 중소기업이 수입대체품 개발에 성공해도 대기업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신기술 제품을 구매할 경우 지원하는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 등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이란 대기업이 구매를 조건으로 개발을 의뢰한 기술개발을 중소기업이 수행할 경우 정부가 개발비의 55%를 지원하는 것이다. 홍 청장은 “실제 대기업 CEO가 상생협력 의지를 가지고 있어도 실무선에서 책임문제 때문에 실현되지 못할 경우가 많아 중소기업 제품을 적극 발굴한 대기업 직원에게는 성과보상금을 지원하고 해외연수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홍 청장은 또 내년부터 정부와 대기업 등 민간이 2대1 매칭 방식으로 ‘민관 공동 R&D 펀드’를 조성해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사업에도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 밖에 앞으로 6개월간 ‘대ㆍ중소기업 CEO 사랑방’을 매달 한 차례씩 열어 수ㆍ위탁 관계에 있지 않은 대ㆍ중소기업 대표와 중기청장이 7~8명 규모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모임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했던 조원국 삼성전자 부사장은 “지금까지 구매 중심으로 진행해온 상생협력을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써나가겠다”며 “(중소기업과) 자주 만나야 소통이 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간담회에서는 최근 중소기업계가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며 요구하는 납품가 연동제 도입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으며 다만 대기업ㆍ중소기업 간 납품거래시 ‘수ㆍ위탁 거래 표준약정서’를 활용해달라는 정부 측의 간단한 요청만 있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