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갈수록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와 협력을 강화라는 ‘카드’를 사용할 전망이다.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은 조지 부시 행정부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오는 18일 만모한 싱 인도 총리의 미국 방문때 양국간 협력 강화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15일 보도했다.
미국은 이번 싱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인도에 첨단무기 시스템 및 원자력기술을 판매하는 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룰 예정이다. 미국은 이를 통해 자국내 방산업체들의 인도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중국을 견제하는 ‘일석 이조’의 효과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보잉ㆍ록히드마틴 등 미국 군수기업들은 세계 3위 무기수입국인 인도가 올해 국방예산으로 175억달러를 책정한 것을 시장 진출의 호기로 노리고 있다.
또 인도와의 동맹 강화를 통해 아시아에서 중국의 경제ㆍ군사적 팽창을 막고 파키스탄ㆍ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의 이슬람 원리주의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인도는 그 대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에 위한 미국의 지지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
양국간 경제협력 문제도 주요 관심사다. 전문가들은 인도 주정부와 미 엔론사간의 마찰로 공사가 중단된 29억달러 규모 다볼 가스발전소 처리문제가 이번 회담에서 매듭 지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볼 발전소 문제가 해결될 경우 그간 주춤했던 미국 기업들의 인도 기간산업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 의회가 군산복합기술 및 핵기술의 인도 판매를 금지하고 있는데다 인도가 핵확산방지조약(NPT)에 가입하지 않고 있는 점 등은 이번 회담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 인도가 미국의 ‘중국 견제’ 전략에 말려드는 것을 꺼리는 것도 회담 결과를 낙관하기 힘들게 하고 있다. 싱 총리도 최근 “미국과의 관계개선이 중국과의 경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중국과의 협력강화는 지속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지난해 미국의 인도 수출은 전년보다 20% 늘어난 61억달러에 달했으며 미국 기관투자가의 인도자산 투자도 2003회계연도 5억달러에서 2004회계연도 100억달러로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