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증권사 ELS 헛장사?

외국상품 도입 판매로 과실 해외로 빠져나가

국내 증권사들이 주가연계증권(ELSㆍEquity Linked Securities)을 대거 발행하고 있지만 상당 부분을 외국 증권사에 의존하고 있어 과실이 외국으로 빠져나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은 ELS를 발행할 때 상품설계능력이 떨어져 위험헤지(분산)를 위해 외국에서 ELS상품을 사온 뒤 추가 기능을 붙여 이익을 남기는 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ELS는 종합주가지수나 대형주 주가 등의 가격변동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도록 설계된 증권으로 지난 2003년 이래 약 4조원어치나 발행된 히트 상품이다. 이와 관련, 중소형 증권사들은 경험부족으로 대부분 외국 ELS상품을 그대로 도입해 파는 경우가 많고 대형사들도 절반 가까이를 외국 상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례로 모 증권사가 최근 내놓은 ‘삼성전자 주가연계 원금보장형 ELS’은 삼성전자의 만기 주가가 5%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최고 연 12%의 수익을 지급하고 5% 넘게 하락해도 원금을 보장하는 상품인데 외국에서 옵션을 사서 재가공한 것이다. 대형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현재 국내 ELS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원금비보장형은 대부분 외국 회사에서 ELS를 다시 사오고 있다”고 밝혔다. 김명호 현대증권 파생상품영업팀장은 “외국 증권사들도 초기에는 헤지부담으로 손해를 많이 봤고 올 들어 주가 변동성이 떨어지면서 손실을 보는 추세”라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정 부분 외국사를 활용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