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은행 "공격경영 보다 내실"

이종휘 행장 내정자 예대마진 확보등 기본 강조<br>"그룹 시너지창출 주력…수석부행장제 되살릴것"


우리은행이 이종휘 행장 취임과 함께 안정적인 성장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종휘 우리은행장 내정자는 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과도한 경쟁을 지양하고 국내 대표은행으로서 건전한 금융질서를 유지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며 내실 경영에 대한 의지를 표시했다. 이 내정자는 앞으로의 영업전략에 대해 예대마진 확보 등 은행의 기본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은행의 성장은 수익성과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국내 대표 은행으로서 건전 영업에 앞장서고 적정한 예대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현재 25% 수준인 비(非)이자 수익 비중을 30~40% 수준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 증권, 보험과 연계된 복합금융상품을 적절한 시점에 출시할 계획이나 과도한 경쟁으로 예대마진을 줄이는 경영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리한 외화조달이나 저금리 대출, 고금리 예금 유치 등을 통해 순이자마진(NIM) 등 수익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영업을 자제하고 사업 부문 간의 균형을 도모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 내정자는 “카드사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속도조절이 필요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특정 사업부문에 ‘올인’하는 방식의 공격 경영은 자제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민영화에 대해 “민영화나 인수·합병(M&A)의 경우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금융산업이 재편될 수 있도록 소임을 다할 것”이라며 “우리금융그룹의 순익 중 70~80%를 차지하는 주력 계열사답게 그룹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맏형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내정자는 옛 상업·한일은행 출신들 간의 조직융화를 고려해 수석 부행장제(制)를 부활시키는 한편 균형인사를 위해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고급 간부 인사의 경우 조직에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균형 인사에 주력할 방침이며, 수석 부행장 제도의 부활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합병한 지 10년이 지났고 직원의 36%가 합병 이후 입사했기 때문에 산술적 균형은 지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