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주당 내분사태 진정국면

당무회의 노무현후보 재신임 문제 매듭민주당 내분사태가 급속히 진정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민주당이 19일 당무회의에서 노무현 대통령 후보에 대한 재신임 문제를 매듭지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8ㆍ8 재ㆍ보선 특별기구'와 '당 발전 및 쇄신을 위한 특위' 위원 인선 절차를 마무리 한 뒤 곧바로 재ㆍ보선 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특히 '재신임'문제가 해결된 노 후보는 당권파와 쇄신파 등의 지원을 업고 '친정(親政)' 체제를 강화하면서 대선행보를 본격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노 후보가 이와 관련, "불만이나 이의가 없는 공천방법을 찾아보라"고 지시하고 다양한 인사들과 만나 재ㆍ보선 관련 의견을 청취키로 한 것도 자신의 책임아래 재ㆍ보선을 치르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 셈이다. 당권파인 문희상 최고위원은 "앞으로 반쯤 보따리를 싼 사람들에게 끌려 다니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쇄신파 의원 15명도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모임을 갖고 "노 후보가 재ㆍ보선후 재경선 수용 입장을 밝힌 만큼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후보 공천 특별기구위원 인선 권한을 후보에게 모두 줘야 한다"며 노 후보에게 힘을 실어줬다. 정균환 총무는 "일단 노 후보를 재신임하되 노 후보의 경쟁력 상실에 대비하는 것은 재ㆍ보선 이후 논의하자"고 말했고, '선(先) 후보 사퇴'를 요구해온 박상천 최고위원도 "재ㆍ보선후에 본인이 말한 대로 재신임이든 재경선이든 하는 게 좋다"며 한발짝 물러섰다. 그러나 이인제 의원계 충청ㆍ경기지역 일부 의원들의 노 후보에 대한 거부감과 당 지도부에 대한 불신은 선을 넘어선 상태로 재보선 공천과정에서의 갈등 등 폭발성 있는 사안이 생길 경우 언제든 불길이 다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 노 후보의 지지율 하락 등 경쟁력에 대한 회의가 누적되고 제3후보 영입문제가 어느쪽으로 가닥이 잡히느냐에 따라 '후보 사퇴론 증폭- 재경선 논란-당 분열' 상황으로 몰리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게 사실이다. 그 연장선상에서 민주당 비주류발 정계개편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정몽준 의원 중심의 '정몽준 신당론'이 부상하고있는 것도 노 후보 중심의 민주당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 과제다. 양정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