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척추 사이 물렁뼈 밀려나가 '통증'

허리디스크

척추는 수십 여 개의 뼈로 연결되어 있다. 척추 뼈와 뼈 사이에는 몸의 중력과 충격을 흡수시켜 주고 뼈와 뼈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물렁뼈 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추간판, 즉 디스크다. 추간판(디스크)은 경추(목뼈) 1, 2번을 제외한 각 척추 뼈 사이에 있는데 팥고물이 든 찹쌀떡처럼 가운데는 약80% 정도가 물로 된 물렁물렁한 겔 타입의 수핵과 수핵을 감싸서 보호하는 섬유질의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판(디스크)은 스프링처럼 충격을 완화 시키고 분산과 흡수를 통해 척추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디스크는 전후 좌우로 튼튼한 인대 조직에 둘러 쌓여 있어 좀처럼 밀려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나쁜 자세나 사고 등 외부적인 자극이 가해져 척추 뼈가 제자리를 잃고 비뚤어지면 마치 고무풍선의 한쪽을 누르면 다른 한쪽이 밀려 커지는 것처럼 뼈 사이 디스크가 눌려 찌그러지고 벌어진 쪽으로 밀려 나온다. 밀려나온 디스크는 주위 신경근을 자극해 심각한 통증을 유발한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디스크 질환, 또는 추간판탈출증이다. 이중에서도 요추(허리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밀려나와 옆의 신경을 눌러 통증이 생기는 경우를 허리디스크라고 부른다. 그런 점에서 허리디스크는 요추(허리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밀려나와 옆의 신경을 눌러 통증이 생기는 척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허리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허리디스크라도 신경이 눌리는 위치에 따라 통증부위는 차이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