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시 에너지정책은 '생산증대'

부시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이 생산증대로 확실한 가닥을 잡고 있다.부시 대통령은 그 동안 민주당과 환경론자들의 압력을 의식, '환경보전을 염두에 둔 에너지 정책'을 표명해 왔지만, 최근에는 에너지 위기로 인한 정치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정책의 초점을 생산증대에 맞추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분위기에 편승, 부시 행정부와 에너지기업과의 공조도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다. ◇에너지 위기 방지에 초점을 맞춘 정책=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번 주 에너지 정책을 발표할 예정인데, 초점은 생산증대에 맞춰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시 대통령이 이처럼 일부 여론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생산증대를 강행하려는 것은 잠재적인 에너지 위기가 실질적인 정치위기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그 동안 석탄, 정유시설, 가스 파이프라인 및 핵 원자로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과 병행해 환경보전 및 대체연료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는데, 결국 무게 중심이 에너지 생산증대로 확연히 기울게 된 것. 부시 대통령은 특히 에너지기업들을 독려해 생산을 증대한다는 차원에서 에너지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함은 물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절감을 인센티브로 제공할 계획이다. 부시 행정부는 이 같은 조치가 장기적인 차원에서는 감세보다 더욱 큰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에너지기업과의 공조도 수면위로 부상=그 동안 에너지기업들은 민주당과 환경론자들의 강경론에 밀려 숨을 죽이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부시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생산증대에 초점을 맞추자 부시 대통령에 대한 '힘 실어주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미 자동차 거래업체, 가전제품 제조업체 및 기타 기업들은 부시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 지원을 위해 '에너지와 경제성장을 위한 동맹'이라는 로비단체까지 구성했다. 특히 전례 없이 많은 돈을 투자해 새로운 천연가스전을 파고 있으며, 가스 파이프라인 신설 및 발전소 건설도 서두르고 있다. 실제 대형 석유회사들은 올해 천연가스 공급 확대를 위해 410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력회사들은 앞으로 18개월간 전기생산 설비를 9만㎽나 확충할 계획이다. 이는 미 에너지부가 2020년까지 필요하다고 예측한 수요 증가분의 1/4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운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