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정일 연내 답방해야"

김대통령 CNN과의 기자회견서 밝혀김대중 대통령은 14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겸 노동당 총비서가 "올해 안에 서울에 와야 한다"고 강조, '연내 답방'을 거듭 촉구했다. 김 대통령은 역사적인 남북공동선언 1주년을 하루 앞둔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미 CNN 방송 회견에서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 당시 북측에서는 '서울 답방'을 선언문에 넣지 않으려 했으나 내가 우겨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최근 두 차례에 걸쳐 김 위원장을 상대로 직접 서울답방 일정을 밝힐 것을 요구했던 김 대통령은 "정상회담 이후에도 북한이 선언 내용 준수 의사를 재천명한 만큼오는 것은 틀림 없고 금년내에 오는 것이 제일 좋다"고 말한 뒤 "미북 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답방 가능성이 높아지고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 대통령은 이날 한국계인 달톤 타노나카 앵커가 진행하는 대담 프로인 'Talk Asia'에 출연, 김 위원장의 답방 전망외에 6.15 1주년을 맞은 소회와 김 위원장에 대한 인상, 노벨 평화상 수상 소감 및 각오, 교육 문제 등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다음은 대담 내용 요약.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어떤 사람이라고 보십니까. 정치 지도자를 떠나 한 자연인으로 판단해본다면. ▲김 위원장은 북한에서 당.정.군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는 1인 지배체제의 리더인 것이 확실합니다. 개인적으로 볼 때 알려진 것과 달리 대단히 솔직한 편입니다. 개방적이고 남의 말을 잘 알아 듣고 그 말이 납득이 가면 즉석에서 받아들이고, 결단할 줄 아는 인물입니다. 이 점을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에게 얘기했는데 지난해 북한에 다녀오더니 똑같은 소리를 하더군요. 지난 달 평양을 다녀온 스웨덴의 페르손 총리에게도 이 말을 했는데 다녀와서 하는 얘기가 같았어요. 이런 점에서 볼 때 김 위원장은 대화의 상대가 되는 사람입니다. 또 북한에서 국제사회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이 김 위원장인데 불행히도 그 밑으로 내려가면 아직도 냉전적 사고에 사로 잡힌 사람들이 있는 것 같고 이들이 국제사회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상하이도 가보고 해서 개혁.개방으로 나가려는 것 같은데 전체 국민이나 군부, 당료들을 교육, 설득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봅니다. 김 위원장은 CNN을 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NN을 통해 김 위원장께 전할 메시지가 있다면. ▲김 위원장이 서울을 되도록 빨리 와서 우리 문제는 우리가 서로 협의해 한반도에서 평화와 교류, 협력을 증진시키는 문제를 발전시켰으면 합니다. 이런 우리의 노력이 또 북.미관계 발전에도 도움이 될겁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제일 중요한 것은 김정일 위원장이 서울을 가능한한 빨리 방문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김 위원장의 방문 시기는? ▲언제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금년내에 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족에 대한 사랑'이 북한에 손을 내밀 수 있었던 동기가 되었나요? 정치적요인보다도 가족의 사랑이라는 것이 어떤 근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가족들과 지내면서 남북 이산 가족들을 생각할 때면 참 죄스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이산가족간 생사조차도 모른다는 것은 용서할 수 없는 비인도적인일이라는 점에서 이들을 위해 무언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지난해평양 갈 때도 최종 목표는 남북이산가족의 상봉이나 소식을 듣는 문제였습니다. 노벨평화상 수상 소감은. ▲아내와 얼싸 안고 좋아할만큼 무척 기뻤었죠. 노벨평화상을 받기까지 가족이나 동지들은 물론 내가 모르는 민주 투사들까지도 피와 땀을 많이 흘렸습니다. 특히 남북정상회담이 (노벨평화상) 수상에 중요한 요건으로 보는데 나 혼자 받은 것에 김 위원장한데 미안하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런데 노벨평화상은 올림픽 금메달과 달리 수상 후에도 국제사회에서의 책임이더 커집니다. 국내외의 인권과 평화,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인권위원회 법도 제정하게 됐습니다. 또 정보화 시대인 지금 전세계적으로 정보 격차가 너무 심해지고 이에 따른 빈부 격차도 한층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태경제협력체(APEC) 회의나 세계은행 총회 참석시엔 정보 격차 해소 문제를 제기, 채택되기도 했습니다. 역사 교과서에 김대중이라는 인물이 어떻게 묘사되길 원합니까. ▲후세의 평가가 굉장히 어려울 정도로 여러 일을 겪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소신에도 불구, 예위해 끝까지 굴하지 않고 해나가는 사람'으로 묘사할 것입니다. (홍콩=연합뉴스) 홍덕화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