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작년 협약 임금인상률 1.7%, 환란이후 최저

공공부문은 평균 0%

지난 2009년 경제위기로 협약 임금인상률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임금교섭 타결 사업장의 협약 임금인상률(임금총액 기준)은 1.7%로 전년의 4.9%에 비해 3.2%포인트 떨어졌다. 민간 부문 및 공공 부문 모두 전년에 비해 임금인상률이 대폭 하락했으며, 특히 공공 부문의 평균 인상률은 0%를 기록했다. 임금인상률은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낮아 5,000인 이상 기업의 인상률이 가장 낮은 0.2%인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의 인상률은 가장 높은 3.2%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도 운수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임금인상률이 전년에 비해 하락했다. 운수업의 인상률은 6.2%로 전년의 2.7%에 비해 대폭 올랐으나 이는 초과 운송수입금이 최저임금 산입에서 제외되면서 택시업종의 기본급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임금협약 타결 사업장 중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곳은 45.1%(2,329곳)로 전년 대비 3배나 증가해 외환위기 이후 비율이 가장 높았다. 양보교섭 및 노사협력 선언은 6,394건으로 전년 동기의 2,689건에 비해 2.4배로 늘었다. 특히 노사가 자발적으로 고용유지나 임금동결ㆍ반납ㆍ무파업 등을 약속한 양보교섭은 3,722건으로 전년과 비교하면 32배 이상 급증했다. 한편 협약 임금인상률은 노사가 협약으로 정한 임금인상률로 성과급이나 승진에 따른 인상분은 제외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