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4·27 재보선 후폭풍] 경제라인 물갈이?

MB "물가 폭등·전세대란이 문제"

4ㆍ27 재보선 참패로 한나라당 지도부가 즉각 총사퇴하면서 민심수습을 위한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28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내각과 청와대의 면모 일신을 건의했고 아울러 이 대통령은 곧 재보선 참패의 후속조치로 '인적쇄신'을 단행할 방침이다. 특히 이번 선거 패배가 경제에 대한 '서민들의 불만' 때문이라는 이 대통령의 진단이 나오면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등 경제관료들과 청와대 경제참모들에 대한 인적쇄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선거패배 원인에 대해 "서민들의 불만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고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그러면서 홍 수석은 개각과 관련, "대통령이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진단은 여당의 가장 큰 선거 패배 원인이 물가폭등과 집값 불안, 전세 대란 등 경제문제였다는 여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경제팀의 쇄신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4ㆍ27 재보선을 앞두고 불거진 '저축은행 부당 자금인출' 사건과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의 '연기금 주주권 행사 강화' 추진을 둘러싼 정부 내 '엇박자'는 가뜩이나 MB정부의 경제실책에 불만이 많은 국민들에게 더 큰 실망을 안겨줬다는 지적이어서 이에 대한 문책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이에 따라 물가문제를 책임지고 있는 윤 장관과 전세대란에 대한 주무장관인 정 장관 등의 문책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심지어 재임기간이 불과 넉 달밖에 안 되는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저축은행의 부당 자금인출'에 대한 감독 소홀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물론 이 대통령이 경제장관의 교체가 국익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밝힌 바 있고 한때 '피로감'을 호소하기도 했던 윤 장관이 최근 장관직 수행에 강한 의욕을 보이는 점 등에 비춰 경제팀의 유임 가능성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정부 장관의 교체 쪽으로 이 대통령의 결심이 선다면 후임으로는 세종시 수정안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다가 물러난 권태신 전 국무총리 실장과 청와대 정책실장을 역임한 윤진식 의원,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 임 대통령실장 등이 이 대통령의 인사취향에 부합하는 인물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들 모두 '인적쇄신'의 취지와는 맞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정 장관 역시 본인의 희망 등의 이유로 유임론도 나오고 있으나 교체 가능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후임으로는 류우익 전 주중대사와 최재덕 전 건설교통부 차관, 김건호 수자원공사 사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밖에도 이 대통령은 교체 대상 장관으로 구제역 사태로 이미 사의를 표한 유정복 농림수산식품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 현인택 통일부 장관 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 장관 후임으로는 홍문표 한국농어촌공사 이사장과 이계진 전 의원 등이, 환경부 장관에는 박승환 한국환경공단 이사장과 박석순 이화여대 교수 등이 거명된다. 또한 통일부 장관에는 류 전 대사와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개각 문제와 더불어 경제에 대한 국민의 불만을 제대로 해소시켜주지 못한 청와대 참모진의 개편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분당을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 등과 맞물려 임 대통령실장의 경질 요구가 한나라당 쇄신파들을 중심으로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대통령은 청와대 개편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청와대는 일단 인적쇄신보다는 정책쇄신 등을 통해 환골탈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