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위안화 절상 차이나펀드 투자 득실은?

국내서 팔린 펀드 대부분 홍콩증시에 투자<br>안정적 수익률 유지…당장 큰영향 없을듯<br>추가절상 폭 클땐 中증시에 부정적 영향<br>전문가들 "환율흐름 주시하며 투자 신중히"



위안화 평가절상으로 중국 시장에 투자하는 ‘차이나펀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위안화 절상에 따라 당장 환율효과로 인한 자산효과(위안화 강세→중국내 자산가격 상승→수익률 상승)를 기대할 수 있지만 또 이에 못지않게 위안화 절상에 따라 중국기업이 수출에 타격을 받을 경우 주가는 하락할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수익률에는 마이너스 효과로 작용하게 되어 위안화 절상효과는 차이나펀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단 국내에서 팔린 차이나펀드는 대부분 상하이 등 본토가 아닌 홍콩증시 등에 투자하고 있어 지난 20일 중국정부의 전격적인 평가절상에도 불구하고 큰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펀드평가회사 제로인의 이재순팀장은 “홍콩 H지수의 활황으로 국내에서 가입할 수 있는 중국관련 펀드의 최근 수익률은 크게 좋아졌다”며 “환율요소를 제외하고 보면 중국은 중장기적으로 투자전망이 밝은 편”이라고 말했다. ◇위안화 평가절상 영향, 당장은 없다= 국내에 소개된 차이나펀드의 경우 대부분 홍콩증시에 투자하고 있다. 중국정부가 위안화 평가절상과 함께 제한적인 범위내에서 변동환율제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홍콩은 현재 달러화에 페그되어 있는 고정환율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위안화 평가절상에도 불구하고 차이나펀드의 수익률에는 크게 변화가 없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애기다. 중국과 인도시장에 투자하는 ‘친디아펀드’를 내놓은 대우증권 상품개발마케팅부의 박형규 대리는 “현재 수치상으로는 환율효과가 나타난 것은 없다“며 “다만 홍콩에서 홍콩달러화와 위안화가 동시에 통용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점진적으로 환율절상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친디아펀드의 경우 전체 자산의 30%를 중국과 인도 주식에 투자하는데 중국투자는 홍콩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25개 주요기업을 대상으로 한 신화 차이나 25 인덱스를 따라가는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한다. 최근 이 상품은 1개월, 3개월 수익률이 3.75%와 5.41%를 기록해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국내 안정형펀드와 비교하면 최상위권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차이나펀드의 경우도 최근 1개월동안 3~5%대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홍콩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중국 H주식이 최근 지난 1993년 이후에 형성된 장기 하락추세선을 상향돌파하는 등 강세흐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추가 절상여부와 속도가 문제다= 중국정부의 위안화 평가절상에 따른 중국 증시의 반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평가절상이 전격적으로 단행되면서 그 동안 절상폭과 시기 등에 대해 주식시장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했던 불확실성을 해소시켜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 20일 평가절상이후 홍콩과 상하이 등의 중국관련 주가들은 오히려 강세행진을 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예고된 추가 평가절상의 폭과 상승속도다. 위안화가 빠르게 그것도 대폭적으로 절상될 경우 중국기업들의 가격ㆍ수출경쟁력은 훼손받을 수 밖에 없다. 현재 중국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예상은 올해 안에 한두차례의 평가절상이 추가적으로 점진적으로 이뤄지고 현 수준보다 3% 안팎정도는 평가절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차이나펀드의 수익률전망은 복잡해진다. 당장 위안화 평가절상은 홍콩달러화의 가치상승을 동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환차익에 대한 기대가 예상되지만 이에 못지 않게 중국증시에 미칠 영향은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시전문가들은 차이드펀드에 투자한 투자자라면 앞으로 시장의 환율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차이나펀드는 중국증시의 호조흐름으로 수익률 측면에서는 국내상품에 못지않은 대안상품으로 역할을 했다”며 “그러나 위안화 추가절상의 변수가 생긴만큼 앞으로 환율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면서 투자를 신중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