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학력·고소득 부모일수록 사교육비 지출비율 더 높아

중앙고용정보원 연구결과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ㆍ거주지 등이 자녀의 사교육에 영향을 미쳐 사회불평등 구조를 확대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 강남이나 경기도 신도시에 거주하는 고학력 고소득 부모의 자녀들이 그렇지 않은 또래보다 더 많은 사교육을 받아 상급학교 진학이나 진로결정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김현진 중앙고용정보원 동향분석팀 선임연구원은 28일 중ㆍ고생과 대학(원)생 등 1,198명을 대상으로 ‘사회계층변인(소득ㆍ부모학력ㆍ지역)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연구’를 통해 이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서울 강남권(강남ㆍ송파ㆍ서초구) 학생 가운데 월 평균 50만원 이상 고액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비율은 43.3%(2003년 기준)인 반면 비강남권은 15.2%에 그쳐 3배 가까운 격차를 보였다. 신도시의 경우 서울 강남보다도 더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만원 이상 사교육비 지출자 비율은 신도시(분당ㆍ일산) 거주자가 60.8%로 비신도시(경기도 내 그외 지역) 거주자 12.5%에 비해 5배 가까이 많았다. 가구주의 학력에 따른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현황을 보면 50만원 이상은 고졸 이하가 7.4%인 데 비해 대졸은 16.8%, 대졸 이상은 33.8% 등으로 가구주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 고졸 이하보다 4배 이상의 고액 사교육비를 지출했다. 연구는 또 2004학년도 서울대 신입생 조사에서도 아버지의 직업이 화이트칼라인 경우가 67.4%로 나타났고 학력도 대졸 71.1%, 대학원졸 이상 24.7% 등으로 나타나 대학진학이 부모의 사회적 지위와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사교육비 지출이 부모의 학력, 소득, 거주지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 확인됐다”며 “사교육비 문제가 단순히 비용의 많고 적음을 뛰어넘어 사회계층간 불평등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이 계층 상승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계층의 재생산 기능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