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경선 룰' 합의 실패

■ 대선주자들 조찬 간담회<br>시기·방식싸고 이견만 재확인…후보검증 문제도 신경전

'同床異夢' 한나라당 대선주자 3인방인 이명박(왼쪽) 전 서울시장, 박근혜(가운데) 전대표,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25일 서울여의도 렉싱톤 호텔에서 열린 대선주자 초청 간담회에서 서로 다른 표정을 지으며 앉아 있다. /신상순기자

한나라 '경선 룰' 합의 실패 ■ 대선주자들 조찬 간담회시기·방식싸고 이견만 재확인…후보검증 문제도 신경전 민병권 기자 newsroom@sed.co.kr '同床異夢' 한나라당 대선주자 3인방인 이명박(왼쪽) 전 서울시장, 박근혜(가운데) 전대표,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25일 서울여의도 렉싱톤 호텔에서 열린 대선주자 초청 간담회에서 서로 다른 표정을 지으며 앉아 있다. /신상순기자 한나라당이 경선과 후보검증을 둘러싼 대선주자간 분란을 해소하는 데 사실상 실패했다. 한나라당은 25일 서울 여의도 렉싱턴 호텔에서 당내 대선주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조찬간담회를 열고 당내 갈등을 빚고 있는 대선후보 확정을 위한 경선방식과 후보검증 문제를 논의했으나 주자간 의견차이만을 확인한 채 끝났다. 한나라당 대선주자인 고진화 의원, 박근혜 전 당 대표,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원희룡 의원, 이명박 전 서울시장 등 5명은 이 자리에서 여섯 가지의 원론적 사항에 대해 합의를 이뤘을 뿐이다. 이들 6개 사항은 ▦경선시기와 방법은 다음달 10일까지 당의 경선준비위원회가 결정 ▦경선 결과 승복 ▦당 중심의 대선주자 정책ㆍ도덕성 검증 필요 ▦당 지도부의 엄정중립 ▦지도부와 대선후보간 긴밀한 협의 ▦권역 및 주제별 정책토론회 개최 등이다. 그나마 '경선 결과 승복' 사항에 대해선 공정ㆍ정책ㆍ상생 경선의 3대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점과 더불어 비방ㆍ폭로가 배격돼야 한다는 단서가 붙었다. 현재 이 전 시장의 지난 96년 선거법 위반에 대한 위증교사 논란이 폭로 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인 점을 미뤄볼 때 이 같은 단서가 경선 불복의 빌미로 떠오를 가능성이 남게 됐다. 심지어 경선의 구체적 시기와 방식에 대해선 주자간 이견이 첨예하게 드러났으며 손 전 지사는 간담회 중간에 퇴장하기까지 했다. 경선 문제를 놓고 박 전 대표는 현행 당헌ㆍ당규대로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경선 방식 변경 논의는 필요하다는 다른 주자들과는 완전히 대립각을 세운 상태다. 박 전 대표 진영의 구상에 따른다면 대선후보 경선은 오는 9월께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선거인단은 당원과 일반유권자의 비율이 5대 5인 현행 규정대로 구성된다. 반면 이 전 시장측은 경선을 오는 6월께 치러야 한다는 구상이다. 또 선거인단 구성비율에 대해선 박 전 대표와 입장을 같이 하지만 선거인단수는 현재의 3만5,000명보다 늘려 10만명 수준으로 확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손 전 지사는 경선시기는 최대한 늦춰 9월말~10월말께 열어야 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또 선거인단 구성 비율에 대해선 아직 최종안을 밝히지는 않고 있으나 일반 유권자 대 당원간 참여 비율이 최소 6대 4는 되야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대선후보 검증문제에 대해서도 주자들간 신경전이 오갔다. 특히 박 전 대표는 간담회 직후 기자들에게 "당이 부정부패 때문에 어려운 시간을 가졌는데 금품시비나 부정거래 시비에 휘말리면 후보를 사퇴한다든지 금품을 받으면 출당한다든지 규정을 둬야 한다"고 강경발언을 해 도덕성 시비에 휘말린 이 전 시장측을 자극했다. 이날 간담회를 주최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경선시기와 방법은 3월 10일까지 정해야 하며 (경선 원칙을) 한자도 못 고친다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해 박 전 대표측과 미묘한 온도차를 보였다. 한편 박 전 대표와 이 전 시장은 경선문제와 별도로 이날 대변인 논평 등을 통해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문제를 차기 정부에서 재논의하거나 재협상해야 한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된다. 입력시간 : 2007/02/25 17: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