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달 금리인상 단행땐 증시 "큰 부담"

전문가 "정부·여당서 반대… 가능성 낮아"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금리인상 주장이 대두되는 가운데 9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증시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7일 “국내외 경기가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서지 못해 금리인상은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민간연구소 등에서 금리인상 주장이 솔솔 제기되고 있어 혹시라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삼성경제연구소는 전날 “국내 주택가격에는 상당 규모 거품이 존재하며 이중 금리요인에 의한 부분은 3분의 2정도로 분석된다”며 금리인상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중현 굿모닝신한증권 애널리스트는 “시중유동성 흡수에 대한 한국은행의 욕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금리인상 가능성을 단언하기는 쉽지 않지만 만약 금리인상이 된다면 최근 횡보국면인 증시에 큰 충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북핵 위기가 불거진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인하까지 검토했었고, 여당과 재정경제부에서 금리인상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어 이번 달에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한국증권은 이날 “금통위가 경기와 인플레이션 사이에 중립적인 관점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도윤 한국투신운용 채권운용본부장은 “한은 총재의 성향상 금리 동결 후 부동산 문제에 대해 원론적 수준의 발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도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경기지표의 방향성이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는 내년 초반 정도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