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강남 아파트값 '바닥쳤다' vs '더 떨어진다'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지금이 바닥인가?"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바닥을 쳤는지 여부에 실수요자는 물론 집주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만약 가격이 바닥을 쳤다면 올 가을 성수기를 기점으로 가격이 상승세로 반전될 수 있다. 반면 아직까지 바닥이 아니라면 겨울 비수기에 또 한차례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가격 흐름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실수요자들은 평균 수천만원 이상 이득을 얻을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매수 타이밍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아파트값 이미 `바닥쳤다'〓현재 아파트값이 바닥을 쳤다고 주장하는 부동산 전문가들은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제 등 정책 악재가 충분히 가격에 반영돼 더이상의 추가하락은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일부 재건축 아파트는 지난해 10.29 대책이후 형성됐던 전저점이 무너졌지만 추가 하락 조짐은 아직까지 볼 수 없다. 개포주공1단지 13평형은 한때 급매물이 3억9000만원으로 전저점인 4억원선이 붕괴됐지만 한차례 거래가 이뤄지면서 4억원이하 매물은 찾아볼 수 없다. 현도컨설팅 임달호 대표는 "여러가지 정황상 현재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은 바닥을 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며 "개발이익환수제 등 정부 규제책이 가격에 충분히 반영된데다 더이상의 악재요인도 없어 현재 매매가를 최저점으로 본다"고 밝혔다. 일선 중개업소의 반응도 가격바닥론이 우세하다. 개포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최저가 급매물과 2000만~3000만원 차이가 나는데도 대다수 매도자들은 가격을 낮추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다"며 "급매물이 줄어드는 대신 당장 거래가 안되도 제값을 받고 팔겠다는 사람이 늘어나 추가 하락 분위기는 아니다"고 말했다. 최근 급매물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조금씩 붙고있는 것도 더이상 가격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데 힘을 실어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여름비수기이자 가격이 바닥세인 지금이 실수요자에게는 아파트 매수 타이밍이라고 조언했다. ◇연말까지 가격 `더 떨어진다'〓하지만 현재 가격을 바닥으로 보기에는 성급하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매수세 단절현상이 장기화할 조짐이어서 추가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매물을 내놓는 매수자가 대부분 1가구3주택자라는 점도 추가 하락의 주 배경으로 꼽힌다. 이들 3주택자들은 올해안에 아파트를 처분하지 못하면 양도소득세가 60% 중과세되기 때문에 연말쯤에도 매수자가 나서지 않으면 가격을 더욱 낮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부동산퍼스트 곽창석 이사는 "현재 가격이 무릎이라는 데는 공감하지만 그렇다고 바닥으로까지 보기에는 힘들다"며 "매수세 단절현상이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평균 5%대의 추가하락이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추가 하락을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좀더 상황을 지켜본 뒤 겨울 비수기에 아파트를 구입해도 늦지 않다는 입장이다. 스피드뱅크 안명숙 소장은 "매수자보다 매물이 더 많은 현재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실수요자는 서두를 이유가 없다"며 "매물량과 거래추이를 꼼꼼히 살피면서 연말쯤 3주택자가 내놓는 급매물을 노려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시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