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외버스 승객 20%만 안전띠 착용

시외버스 승객 10명 중 2명만 안전띠 착용


교통안전공단은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 고속버스 309대와 시외버스 404대를 대상으로 운행 중인 버스의 승객 안전띠 착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고속버스의 안전띠 착용률은 66.9%, 시외버스는 18.3%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지금까지 안전띠 착용률 실태 조사는 주로 운전자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나 이번에는 버스에 탑승한 승객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비교적 안전한 교통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고속버스 승객의 안전띠 착용률이 예상보다 저조하며 특히 시외버스는 10명중 2명만이 안전띠를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사고 발생 시 대형 참사로 이어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발생한 경주 전세버스 사고에서 17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했으나 올해 1월 제주도와 10월 강원도 미시령에서 발생한 전세버스 사고의 경우 탑승객 전원이 안전띠를 매고 있어 최소한의 인명 피해만 발생한 것이 안전띠 착용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버스 승객의 안전띠 착용률은 차내 안전띠 착용 권유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사대상 시외버스의 경우 안전띠 착용을 권유하지 않는 경우가 전체의 76%(307대)에 달하는데 이 경우 안전띠 착용률은 11.7%로 저조했다. 반면 안전띠 착용을 권유하면 착용률이 39.3%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자가 권유하는 방식에 따라서도 운전자 직접 착용 권유 82.8%, 운전자 육성 안내방송 48.9%, 안내방송 메시지 전달 21.2% 등으로 착용률에 차이가 있어 운전자자 직접 착용을 권유하는 게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나타났다. 정상호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안전띠 미착용으로 인한 후진국형 대형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 공단에서 대대적으로 시행중인 ‘ 좌석 안전띠 매기’ 홍보 캠페인과 연계해 버스업체와 운전자를 대상으로 교육과 홍보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