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넷언어는 왜 영어만…/불 민간단체 법정소송 제기

◎조지아공대 불분교 웹사이트 불어없어/「외국어만 사용 상품 판매금지」 위반지적【뉴욕=김인영 특파원】 영어로만 된 인터넷 웹사이트에 프랑스 단체가 소송을 걸어 사상 처음으로 인터넷 언어문제가 법정 소송으로 번지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지에 따르면 프랑스의 「프랑스어 수호」와 「프랑스어의 미래」라는 두 단체는 조지아공대 프랑스 분교의 웹사이트가 프랑스 국내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다. 프랑스 국내법에는 외국어로만 표기된 상품 및 서비스가 프랑스 내에서 판매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미남부 애틀랜타에 본교를 둔 조지아공대는 프랑스 로렌 지방에 분교를 설치, 운영하고 있는데, 이 분교는 학생 모집과 커리큘럼 개설·연구 내용등을 알리는 영문 웹사이트를 개설해놓고 있다. 그런데 프랑스어 애호단체들이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조지아공대 분교의 웹사이트가 영어로만 된 것을 발견, 프랑스어 병용을 의무화한 법규에 저촉된다고 걸고 넘어진 것이다. 지난 94년 이 법률을 밀어부친 자크 투봉 당시 문화부장관은 인터넷과 관련, 『프랑스는 새로운 형태의 식민주의에 의해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미국 주도의 인터넷에 아무런 대응을 못하면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말한바 있다.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도 지난 5월 한 모임에서 『뉴미디어에서 우리의 언어, 프로그램, 창작물이 없으면 우리의 젊은 세대는 경제적, 문화적으로 낙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아메리카 온라인(AOL)이 미국내 스페인어 사용자들의 항의를 받고 인터넷에 스페인어를 병용한 적은 있지만, 국가 차원에서 다뤄지는 이번 인터넷 언어 소송의 결과가 새로운 전례를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김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