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저축은행 가계대출 10조원 돌파

부실위험 큰 신용대출 비중 60% 넘어서 … 금감원 “면밀히 관찰”

신용대출 등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당국은 대출 증가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저축은행을 밀착 감시하고 나섰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일 “2011년말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사상 처음 10조원을 넘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2009년 10월까지만 해도 7조원에 못 미쳤다. 2년만에 잔액이 3조원 넘게 늘어난 셈이다.


2009년 9월 0.5%에 불과했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지난해 7월 31.7%로 급상승한 뒤로 매월 30% 안팎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급격히 늘었지만,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로 미미한 수준이다.

그런데도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이유는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로 불거진 저축은행의 부실을 이어받아 부실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부실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소액 신용대출의 비중은 2010년말 45%에서 지난해 말 60% 이상으로 확대됐다. 저축은행 대출의 고정이하 여신비율(부실대출 비율)은 같은 기간 10%에서 20%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금감원 관계자는 “두 차례 큰 구조조정에 저축은행 자산은 90조원에서 60조원으로 줄었는데 신용대출은 되레 늘었다”며 “자산의 약 10%가 신용대출이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이 신용대출을 늘리는 것은 PF 대출의 대안이 마땅치 않아서다. 자산 규모를 갑자기 줄이기 어려운 만큼 신용대출로 수익을 내겠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몇몇 대형 저축은행이 최근 신용대출 영업을 갑자기 확장하자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들 저축은행에는 지난해 적기시정조치(부실 우려 금융회사의 정상화 조치)가 유예된 곳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 변동에 따라 부실이 급격히 확대될 우려가 있어 신용대출 증가율이 높은 저축은행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