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로존 불길 G2로 번졌다

中 PMI 6개월만에 하락반전, 美 1Q GDP 하향조정…글로벌 연쇄 경기둔화 우려 커져

글로벌 경제의 양대 견인차인 미국과 중국에까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위기가 전염되고 있다.

유로존이 경기침체로 수입을 줄이고 그리스, 스페인 등의 금융 부실로 실물 경기가 위축된 여파가 G2(세계 주요 2개국)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다시 신흥국가들의 수출 감소로 이어지면서 ‘글로벌 연쇄 경기 둔화’가 나타날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관련기사 4면


1일 중국 물류구매연합회(CFLP)는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4로 전월의 53.3보다 2.9포인트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PMI가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50 미만이면 경기 위축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직 확장 국면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전월 대비 상승행진을 하다가 6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해 경기 둔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관련기사



미국 경제 역시 후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날 미 노동부는 5월 비농업부분고용자수가 6만 9,000명 증가하는데 그쳐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15만명 증가는 물론 지난 달의 11만 5,000명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해 5월 이후 1년래 최저수준이다. 이와 함께 미국의 5월 실업률도 8.2%를 기록해 전달과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모두 웃돌아 고용경기가 뚜렷하게 둔화되게 있음을 나타냈다.

이에 앞서 지난 달 31일(현지시간) 미 상무부는 1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당초 집계했던 예비치 2.2%에서 1.9%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해 4ㆍ4분기 성장률 3%를 크게 밑도는 것이다.

이는 기업들의 재고투자 증가세가 둔화되고 정부의 재정긴축 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럽과 미국, 중국이 지출을 줄이면서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시장까지 세계 곳곳에서 경기 둔화의 새로운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