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회사채 시장 낙후, 중소기업 자금조달 애로”

대한상의, “주관사 통한 기업실사ㆍ평가 이뤄져야”

국내 회사채 시장의 낙후한 환경으로 중소ㆍ중견기업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회사채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는 회사채 발행 때 주관사의 역할은 중개차원에만 머물고 있고 발행회사와 투자회사 주도로 발행금리 등을 결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회사채 시장의 낙후한 발행ㆍ인수 환경으로 신용등급이 우수한 우량기업만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조달을 할 수 있어 유망한 중소ㆍ중견기업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선진국의 회사채 시장에서처럼 주관사를 통한 기업실사와 평가과정이 이뤄져야 유망 중소기업이 시장에 소개되고 회사채 발행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회사채 시장의 한정된 수요와 미비한 인프라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회사채 투자자가 제한된 상황에서는 회사채의 질적 성장이 어렵고, 회사채 거래를 위한 전용시스템이 열악해 가격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아 채권거래의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주관사의 발행 및 인수업무 강화와 거래시스템 개선, 대형 금융투자회사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대한상의는 전했다. 또 회사채 투자의 수요 증진 방안으로 회사채 집중투자펀드 활성화와 적격기관투자(QIB :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s) 제도 도입을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