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S&P "한국 신용등급 상향 가능"

"北군사위협 감소·노사관계 안정·中企개혁돼야"<br>비어스 S&P 정부신용평가그룹 대표 지적

S&P의 정부신용평가 그룹 대표인 데이비드 비어스씨가 6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한국경제현황과 한국정부 신용등급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세계적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6일 앞으로 2년간 한국의 신용등급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비어스 S&P 정부ㆍ국제공공금융 신용평가그룹 대표는 이날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정부 신용등급 설명회’에서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이라며 “이는 앞으로 2년간 상향이든 하향이든 변동 가능성이 없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의 외화표시 채권 등급은 A, 원화표시 채권 등급은 A+이다. S&P가 내놓는 정부 신용등급은 한 정부가 채무를 적시에 전액 상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 것으로 등급 전망은 ‘긍정적’ ‘안정적’ ‘부정적’ 세 단계로 나뉜다. ‘긍정적’은 앞으로 2년 내 등급이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고 ‘부정적’은 그 반대다. 존 체임버스 S&P 정부신용평가그룹 부대표는 “한국은 공공 부문에서 지난 2000년 이래 채권자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탄력적인 재정 운용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면서도 “신용등급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북한의 군사 위협, 통일비용에 따른 우발적인 재정 위험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사관계 및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개혁 둔화 등을 약점으로 지적했다. S&P는 올해 말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나 부동산 시장 거품 논란이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비어스 대표는 “대통령 선거는 정치적 구조에 따라 민주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라며 “만약 정권이 바뀐다 하더라도 주요 정책에 대한 일정 수준의 합의는 존재하기 때문에 파격적인 변화가 예측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또 부동산 거품 논란에 대해서도 “추가 정책이 나온다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수는 있지만 공급부족으로 하락의 여지가 작기 때문에 정부 등급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