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중銀 "외화 확보하라"

커미티드라인 등 잇단 도입… 해외서 채권발행도 모색

시중은행들이 유럽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경색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외화 유동성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23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최근 2억5,000만달러 규모의 커미티드라인을 도입했다. 커미티드라인이란 해외 금융기관에서 법적으로 자금인출권이 보장받는 것으로 상대 은행이 거부하면 자금인출이 제한될 수 있는 크레디트라인보다 유리하다. 신한은행은 앞으로 커미티드라인을 20억~30억달러 수준으로 늘릴 예정이다. 현재 신한은행은 국내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7억달러 규모의 커미티드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미국 보험회사 애플랙에서 2억달러의 크레디트라인을 최근 추가로 확보한 데 이어 해외 금융기관과 접촉해 외화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은행들은 채권발행을 통한 외화조달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국제 단기자금 조달비용의 기준인 3개월물 리보(런던 은행 간 금리)가 지난주 0.445%로 지난해 8월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조달 비용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은 지난 4월27일 미화 5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고 연초에 300억엔의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한 국민은행은 실무부서에서 해외 채권시장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유럽연합(EU) 국가의 한국 투자 잔액이 지난해 말 현재 2,343억달러로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3분의1 수준이어서 유럽 자금이탈이 본격화되면 외화 유동성 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위기 때는 외화채권 발행 가산금리가 급등하는데다 많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외환조달을 못해 외화난에 빠질 수도 있어 커미티드라인 등으로 보험을 들어두는 게 낫다"며 "유동성 위기 재발에 대비해 은행들이 비상 유동성 수단들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